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태초 에 하나님 이 천지 를 창조 하시니라 – 태초에 하나님이 (창세기 1장 1절) 신나는 어린이 찬양 말씀암송 율동 [조이챈트 시즌1] (JOY CHANT GEN 1:1)“?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kamuslirik.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kamuslirik.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조이챈트 JOY CHANT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70,757회 및 좋아요 361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태초 에 하나님 이 천지 를 창조 하시니라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태초에 하나님이 (창세기 1장 1절) 신나는 어린이 찬양 말씀암송 율동 [조이챈트 시즌1] (JOY CHANT GEN 1:1) – 태초 에 하나님 이 천지 를 창조 하시니라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하나워십무브먼트 창작 영유아말씀챈트 제1시리즈!
조이챈트와 함께하는 신나는 말씀암송!
구독: https://www.youtube.com/channel/UCNF_5nwMVpkp3cTKlT9rvsg
하나워십무브먼트: https://www.youtube.com/channel/UCm3RxHIR6Gu9cBCs5zsQJhw
하나무브먼트: https://www.youtube.com/channel/UCvN_5dulk_cv7Hb0otEjydQ
신촌하나교회: https://www.youtube.com/channel/UChzI-IJRRWNTdwkHeCs5PKg
신촌하나교회 블로그: https://blog.naver.com/onething401
신촌하나교회 공식 홈페이지: https://schana.or.kr/
#조이챈트 #하나워십무브먼트 #창세기1장1절
감사합니다!
태초 에 하나님 이 천지 를 창조 하시니라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 대한성서공회
개역한글 창세기제 1 장 천지 창조 1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2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신은 수면에 운행하시니라
Source: www.bskorea.or.kr
Date Published: 11/19/2021
View: 584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Ⅰ(창 1:1~13) – Daum 카페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에서 ‘하나님’의 히브리어는 ‘엘로힘’입니다. 그런데 엘로힘에 대한 다음 두 가지로 인하여 일부 사교집단에서 …
Source: m.cafe.daum.net
Date Published: 5/4/2021
View: 9293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창 1:1-25; 계 4:1-11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신 것입니다. 물론 창세기 1장에 성령도 나옵니다. 바로 ‘하나님의 영(창 1:2)’이 성령입니다. 이렇게 삼위일체 되신 …
Source: www.ecumenian.com
Date Published: 8/29/2021
View: 2912
[특별설교]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 국민일보
이 말은 창조주 하나님만이 쓸 수 있는 독점적이고도 배타적인 용어입니다. 바라라는 말은 하나님 외에는 쓸 수가 없습니다. 하나님의 사랑과 인도하심을 …
Source: news.kmib.co.kr
Date Published: 2/6/2021
View: 4190
창세기 1: 1 –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첫번째 하나님은 천지를 만드신 창조주 하나님이십니다. 성경의 시작 창세기 1장 1절 말씀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 …
Source: www.novatochurch.com
Date Published: 2/5/2022
View: 5165
[성경의 맥 2]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 리폼드뉴스
[리폼드뉴스]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창 1:1) 하나님이 시간과 공간을 창조 우리가 성경을 펼치면 맨 먼저 창세기 1장 1절 말씀이 …Source: www.reformednews.co.kr
Date Published: 4/4/2021
View: 1817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태초 에 하나님 이 천지 를 창조 하시니라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태초에 하나님이 (창세기 1장 1절) 신나는 어린이 찬양 말씀암송 율동 [조이챈트 시즌1] (JOY CHANT GEN 1:1).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태초에 하나님이 (창세기 1장 1절) 신나는 어린이 찬양 말씀암송 율동 [조이챈트 시즌1] (JOY CHANT GEN 1:1)](https://i.ytimg.com/vi/SB1QslVtedo/maxresdefault.jpg)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태초 에 하나님 이 천지 를 창조 하시니라
- Author: 조이챈트 JOY CHANT
- Views: 조회수 70,757회
- Likes: 좋아요 361개
- Date Published: 2019. 11. 1.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SB1QslVtedo
[창세기 1:1 ]창세기
제 1 장
천지 창조
1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2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신은 수면에 운행하시니라
3 하나님이 가라사대 빛이 있으라 하시매 빛이 있었고
4 그 빛이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빛과 어두움을 나누사
5 빛을 낮이라 칭하시고 어두움을 밤이라 칭하시니라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이니라
6 하나님이 가라사대 물 가운데 궁창이 있어 물과 물로 나뉘게 하리라 하시고
7 하나님이 궁창을 만드사 궁창 아래의 물과 궁창 위의 물로 나뉘게 하시매 그대로 되니라
8 하나님이 궁창을 하늘이라 칭하시니라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 이는 둘째 날이니라
9 하나님이 가라사대 천하의 물이 한곳으로 모이고 뭍이 드러나라 하시매 그대로 되니라
10 하나님이 뭍을 땅이라 칭하시고 모인 물을 바다라 칭하시니라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
11 하나님이 가라사대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과목을 내라 하시매 그대로 되어
12 땅이 풀과 각기 종류대로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니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
13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 이는 세째 날이니라
14 하나님이 가라사대 하늘의 궁창에 광명이 있어 주야를 나뉘게 하라 또 그 광명으로 하여 징조와 사시와 일자와 연한이 이루라
15 또 그 광명이 하늘의 궁창에 있어 땅에 비취라 하시고 (그대로 되니라)
16 하나님이 두 큰 광명을 만드사 큰 광명으로 낮을 주관하게 하시고 작은 광명으로 밤을 주관하게 하시며 또 별들을 만드시고
17 하나님이 그것들을 하늘의 궁창에 두어 땅에 비취게 하시며
18 주야를 주관하게 하시며 빛과 어두움을 나뉘게 하시니라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
19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 이는 네째 날이니라
20 하나님이 가라사대 물들은 생물로 번성케 하라 땅위 하늘의 궁창에는 새가 날으라 하시고
21 하나님이 큰 물고기와 물에서 번성하여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그 종류대로, 날개 있는 모든 새를 그 종류대로 창조하시니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
22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어 가라사대 생육하고 번성하여 여러 바다 물에 충만하라 새들도 땅에 번성하라 하시니라
23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 이는 다섯째 날이니라
24 하나님이 가라사대 땅은 생물을 그 종류대로 내되 육축과 기는 것과 땅의 짐승을 종류대로 내라 하시고 (그대로 되니라)
25 하나님이 땅의 짐승을 그 종류대로, 육축을 그 종류대로, 땅에 기는 모든 것을 그 종류대로 만드시니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
26 하나님이 가라사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그로 바다의 고기와 공중의 새와 육축과 온 땅과 땅에 기는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자 하시고
27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28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고기와 공중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하시니라
29 하나님이 가라사대 내가 온 지면의 씨 맺는 모든 채소와 씨 가진 열매 맺는 모든 나무를 너희에게 주노니 너희 식물이 되리라
30 또 땅의 모든 짐승과 공중의 모든 새와 생명이 있어 땅에 기는 모든 것에게는 내가 모든 푸른 풀을 식물로 주노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Ⅰ(창 1:1~13)
* 오늘의 말씀 :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창세기 1:1~13)
* 본문요약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아무것도 없는 텅 빈 공간에서 먼저 빛을 만드시고, 이어서 물 가운데 창공을 만드셔서 궁창 위의 물과 궁창 아래의 물로 나누셨습니다. 궁창을 ‘하늘’이라 부르시고, 하늘 아래에 있는 물을 한 곳에 모으셔서 뭍이 드러나게 하셨습니다. 그리고는 모인 물을 바다라 부르시고, 뭍을 땅이라 부르셨습니다. 땅에 각종 채소와 씨 맺는 나무를 내게 하셨습니다.
찬 양 : 40장(새 79) 주 하나님 지으신 모든 세계
75장(새 78) 저 높고 푸른 하늘과
* 본문해설
1.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1~2절)
1)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하늘과 땅을) 창조하셨습니다 .
2)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땅이 생명체가 하나도 없이 텅 비어 있었으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칠흑 같은 어두움이 깊은 물 위에 뒤덮여 있었고),
하나님의 신(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를 운행하셨습니다 (움직이고 계셨습니다).
– 태초에(1절) : 이 천지만물이 있기 전의 어느 때에
– 창조하시니라(2절) : 바라
‘창조’의 히브리어인 ‘바라’는 아무것도 없는 무(無)의 상태에서 창조하신 것을 말하는 것으로, 오직 하나님의 창조사역에만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 혼돈하고 공허하며(2절) :
혼돈(토후) : 질서가 없고 뒤죽박죽인 정돈되지 않은 상태
공허(보후) : 아무것도 없는 텅 빈 공간.
이 두 단어가 합쳐진 ‘토후 와보후’는 ‘형태가 없고 텅 빈’의 뜻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아무것도 없는 ‘무(無)’의 상태에서 창조하신 것입니다.
–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2절) :
•‘흑암’은 단순히 빛이 대칭되는 어두움의 개념이 아니라,
창조 이전에 빛이 없는 완전한 어둠, 절대 어둠의 상태를 가리킵니다.
• ‘깊음’에 해당하는 ‘태훔’은 ‘심해, 깊은 바닷속’을 뜻하나
여기에서는 ‘흑암’과 함께 태초에 빛이 만들어지기 전의 절대 암흑을 가리킵니다.
모든 것이 정리되기 전에 최초의 창조의 상태로, 지구가 물 같은 유동체로
덮여 있었으며, 사면에는 칠흑 같은 어둠만이 있었을 뿐임을 가리킵니다.
– 수면 위를 운행하신다(2절) :
하나님의 신은 성령을 뜻합니다. 하나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시기 전에 혼돈과 공허 상태에 있던 지구의 수면 위를 성령께서 움직이시면서 본격적인 창조 작업을 준비하고 계신 상황입니다.
2. 첫째 날 : 빛을 만드심(3~5절)
3) 하나님이 “빛이 있으라”하고 말씀하시자 빛이 생겨났습니다 .
4) 그 빛이 하나님 보시기에 좋았습니다 .
하나님이 빛과 어두움을 나누어서
5) 빛을 낮이라 부르시고, 어두움을 밤이라 부르셨습니다.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 이 날이 첫째 날입니다.
– 빛이 생겨났고(3절) :
해가 만들어졌다는 뜻이 아니라,
‘빛’이라는 물리학적인 특성이 생겨났다는 뜻입니다.
– 하나님 보시기에 좋았더라(4절) :
하나님께서 계획하신 최상의 상태가 되었다는 것으로,
태초에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위대하고 완벽한 아름다움으로 창조하셨음을 뜻합니다.
–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5절) : 이스라엘은 하루의 시작이 저녁입니다.
3. 둘째 날 : 하늘 위의 물과 하늘 아래의 물로 분리(6~8절)
6) 하나님이 또 “물 가운데 궁창(공간, 창공)이 생겨,
물과 물 사이가 갈려져라”하고 말씀하셨습니다.
7) 하나님이 이처럼 궁창(창공)을 만드시고, 궁창 아래의 물과 궁창 위의 물로 나누시니
그대로 되었습니다 .
8) 하나님이 궁창(창공)을 하늘이라 부르셨습니다.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둘째 날이 지났습니다.
– 궁창 아래의 물과 궁창 위의 물(7절) :
궁창은 지구 대기권을 가리키는 것으로, 태초에는 대기권에 물층이 있었습니다.
대기권에 있던 물층은 오늘날의 구름과는 다른 것으로,
대기권에 있던 이 물들은 노아 홍수 때에 지상으로 떨어졌습니다.
– 그대로 되니라(7절) :
모든 것이 하나님께서 바라시고 계획하신 그대로,
하나님께서 말씀하신 그대로 되었다는 뜻입니다.
4. 셋째 날 : 땅과 바다를 나누고 각종 식물을 만드심(9~13절)
9) 하나님이 또 말씀하시기를 “하늘 아래에 있는 모든 물이 한 곳으로 모여
뭍이 드러나라”하시니 그대로 되었습니다.
10) 하나님이 뭍을 땅이라 부르시고, 모인 물을 바다라 부르시니,
하나님 보시기에 좋았습니다.
11) 하나님이 말씀하시기를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씨를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각기 그 종류대로 내어라”하시니, 그대로 되었습니다.
12) 땅이 풀과 씨 맺는 채소와 씨를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각기 그 종류대로 내니,
하나님 보시기에 좋았습니다.
13)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 날이 셋째 날입니다.
* 묵상 point
● 창세기 소개 :
창세기는 성경의 첫 번째 책으로, 모든 것의 시작이 어떻게 되었는지,
이 땅과 하늘과 저 우주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인류 최초의 사람은 누구인지,
인간에게 죄와 싸움과 죽음과 질병이 들어온 이유는 무엇인지를 소개합니다.
또한, 죄에 빠진 인간을 구하시려는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의 시작도 소개합니다.
그러므로 창세기에는 죄와 사망, 하나님의 약속과 믿음과 구원 등
우리가 성경에서 보는 모든 신앙적인 내용을 다 담고 있으므로,
창세기를 모르고는 성경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앞으로 창세기를 묵상하며 신앙의 기초를 다지는 기회를 삼기를 바랍니다.
1. 창조를 준비하시는 하나님 : 하나님의 신은 수면 위를 운행하셨다(1~2절)
1) 바라 :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는 순수한 의미에서의 창조
사람들도 가끔 창조했다는 말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말하는 창조는 이제까지 한 번도 만든 적이 없는 새로운 것을 만들었을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가령 이제까지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집이나 자동차나 가구를 만들었을 때, 사람들은 새로운 것을 창조했다고 말합니다. 이것은 엄밀한 의미에서 창조가 아닙니다. 단지 그것을 처음 만들었을 뿐, 그것을 만들 때 이미 존재하는 다른 재료를 가지고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본문에서 창조하셨다는 뜻의 히브리어인 ‘바라’는 아무것도 없는 ‘무(無)’의 상태에서 만드신 것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바라’는 오직 하나님의 창조의 사역에만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사람이나 천사들이나 그 어떤 존재도 아무것도 없는 무(無)에서 무엇을 만들 수는 없습니다. 오직 하나님만이 창조의 능력을 가지고 계십니다.
● 묵상 :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온 세상 만물을 만드신 하나님이 우리의 아버지이십니다.
이 믿음을 가지고 강하고 담대하게 살아가십시오.
2) 창조 이전의 첫 번째 창조 :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2절)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시기 전의 이 우주는 그 어떤 물질도 없는 공허하고 텅 빈 공간이었습니다. 오직 칠흑 같은 어둠만이 존재하는 그야말로 ‘무(無)’의 공간에 하나님께 먼저 액체 형태의 물질을 창조하셨습니다. 이 물질은 어떤 형태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무질서하게 우주 공간에 흩어져 있었습니다.
3)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신은 수면 위를 운행하셨다(3절)
여기에서 말하는 흑암이란 빛이 전혀 없는 절대 어둠의 상태를 뜻합니다. 아직 빛을 만드시지 않았으니, 하나님께서 텅 빈 공허한 공간에 만드신 물질들이 어둠 속에서 무질서하게 흩어져 있었고, 하나님의 신인 성령께서 그 물질들 위를 이리저리 움직이고 계셨습니다. 본격적인 창조를 위한 사전 준비작업인 것입니다.
2.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1) 첫째 날 : 빛이 있으라(3~5절)
① 빛을 만드심
하나님께서 첫째 날에 빛을 만드셨습니다.
이 때 만드신 것은 우리가 보는 ‘빛’이라는 물리학적인 특성을 만드신 것입니다.
빛은 생명의 근원입니다. 모든 생명이 이 빛을 받아 그 생명을 이어갑니다.
하나님께서 생명이 첫째 조건인 빛을 만드신 것입니다.
② 하나님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께서 빛을 만드신 후에 하나님 보시기에 좋았다고 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 계획하신 대로 최상의 아름다운 모습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③ 빛과 어둠, 낮과 밤을 만드심(4~5절)
하나님께서 빛을 만드신 후에 빛이 있는 곳과 빛이 없는 곳의 구별이 생겼습니다.
하나님께서 빛을 ‘낮’이라 칭하셨고, 어두움을 ‘밤’이라 칭하셨습니다.
④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이니라(5절)
이스라엘은 하루의 시작이 저녁입니다. 아침이 아니라 저녁을 하루의 시작점으로 본 것은, 빛이 어두움을 이긴다는 것을 알게 하기 위함입니다. 어두움으로 시작했으나 곧 아침이 와서 빛이 어두움을 이기는 것이 날마다 반복되는 것입니다.
2) 둘째 날 : 하늘 위의 물과 하늘 아래의 물로 분리(6~8절)
그리고 이어서 물을 만드시고, 물 사이에 공간을 두게 하셔서, 그 공간을 ‘하늘’이라고 부르셨습니다. 노아 홍수 이전의 태초의 지구의 상태는 오늘날과 다른 모습이었습니다. 지구 전체가 물로 뒤덮여 있었고, 그 물 사이에 공간을 두셨습니다. 하늘 위에 있는 물을 ‘궁창’이라 했고, 하늘 아래 있는 물이 ‘바다’입니다.
하늘 위에 물이 있었으므로, 하늘 위에 떠 있는 그 물이 우주에서 들어오는 방사선 같은 나쁜 광선들을 막아주어서 사람이 살기에 최적의 상태가 되었습니다. 역시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둘째 날이 지났습니다.
3) 셋째 날 : 땅과 바다를 나누고 각종 식물을 만드심(9~13절)
이어서 하늘 아래의 물을 한 곳에 모으셔서 뭍이 드러나게 하셨습니다.
한 곳에 모인 물을 ‘바다’라 부르시고, 뭍을 땅이라 부르셨습니다.
그리고 그 땅에 각종 채소와 열매 맺는 나무를 내게 하셨습니다.
3. 하나님의 창조의 특징
1) 없는 것을 있게 하시고, 무질서한 것에 질서를 세우신 하나님
하나님께서는 먼저 아무것도 없는 것에서 무엇인가 있게 하는 일을 하셨습니다. 없는 것을 있게 하신 하나님은, 그 후에 생겨난 것들의 무질서한 것에 질서를 세우셨습니다. 물을 서로 분리해서 하늘 위의 물과 땅의 물로 나누시고, 다시 땅에 있는 물을 한데 모으셔서 바다와 땅으로 구분하셨습니다. 그리고 그 땅에 각종 채소와 열매 맺는 나무가 나게 하셨습니다.
2) 하나님께서 만드신 창조의 질서대로 살 때 가장 좋고 아름다운 상태가 됩니다.
아무것도 없는 것에서 있게 하신 하나님은, 그 다음에 모든 것의 질서를 세우셨습니다.
여기에는 우리도 하나님의 질서대로 살아야한다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3) 하나님의 질서대로 되는 것을 하나님께서 기뻐하십니다.
하나님은 질서가 지켜지기를 원하십니다. 하나님께서 세우신 권위의 질서가 세워지고, 사랑과 공의의 질서가 세워지기를 원하십니다. 고라와 다단과 아비람이 모세에게 대항하였을 때 그토록 무섭게 심판하신 것은, 질서가 무너지는 것을 원치 않으셨기 때문입니다.
● 묵상 :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4절)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계획하신 대로 되었다는 뜻입니다. 하나님의 뜻대로, 하나님의 의도대로 되었을 때 하나님께서 기뻐하십니다.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뜻대로 살아갈 때 하나님께서 기뻐하십니다. 반대로 우리가 하나님의 뜻과는 상관없이 내 생각과 내 고집대로만 살아가면 하나님께서 미워하십니다.
하나님은 무엇보다도 교회와 성도들의 신앙의 질서가 바로잡혀지기를 원하십니다.
우리들의 삶을 보시고 ‘보시기에 좋았더라’하고 말씀하실 수 있도록
거룩하고 신실한 교회와 성도들이 됩시다.
4. 부록 : 하나님의 이름인 ‘엘로힘’에 대하여(1절)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에서 ‘하나님’의 히브리어는 ‘엘로힘’입니다.
그런데 엘로힘에 대한 다음 두 가지로 인하여 일부 사교집단에서 하나님을 ‘오직 한 분이신 하나님’이 아니라, 다신론(多神論)적인 의미에서 여러 신들 중의 하나라고 말하는 자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여기에서 부록으로 성경에서 말하는 엘로힘과 하나님과의 관계에 대하여 간단하게 말씀드립니다.
1) 엘로힘의 뜻과 엘로힘에 대한 논쟁들
① 엘로힘의 뜻 : 전능하신 하나님이란 뜻으로 복수형입니다.
엘로힘이 복수형으로 되어 있으니, 일부 사교집단에서는 하나님 이 한 분이 아니라 여러 명으로 ‘하나님들’이라고 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을 창 1:26에서 ‘우리’라고 표현하는 등 복수로 기록한 것은 성부, 성자, 성령 3위일체 하나님이시기 때문입니다. 태초에 천지를 창조하실 때 3위의 하나님이 모두 동원되셨으므로 복수형을 사용한 것입니다.
그리고 ‘엘로힘’이 비록 복수형으로 되어 있지만, 성경에서는 항상 단수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엘로힘’이라는 단어가 복수라는 이유로 하나님이 여럿이라는 다신론을 주장하는 것은 성경을 완전히 왜곡하는 거짓말임을 기억하십시오.
② ‘엘로힘’이라는 단어가 가나안의 우가리트 문서에도 나오는 이유
‘엘로힘’이 ‘전능하는 하나님’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른 종교에서도 그들의 신을 전능하신 이로 표현할 때는 ‘엘로힘’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한 분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단지 다른 종교에서 이 이름을 사용한다는 것만으로 이렇게 말하는 것은 참으로 어리석은 주장입니다.
③ 성경에서 말하는 하나님과 엘로힘
다른 종교에서도 엘로힘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므로, 성경에서는 하나님을 말할 때 꼭 그 앞에 이런 말을 첨가합니다. ‘이 땅과 하늘을 창조하신 하나님’, 또는 ‘이스라엘을 애굽에서 구원해 내신 하나님’, 이렇게 그 많은 엘로힘들 중에서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 바로 그 하나님이라는 것입니다.
가령 예수께서 이 땅에 오셨을 때 ‘예수’라는 이름은 우리나라의 철수나 영희처럼 아주 흔한 이름이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믿는 예수님을 말할 때에는 ‘나사렛 예수’, 혹은 ‘십자가에 달리셨다가 부활하신 예수’라고 부르는 것과 같습니다.
● 묵상 : 그러므로 ‘엘로힘’이라는 단어로 미혹되지 마십시오.
만일 어떤 사람이 저와 똑같이 ‘송호영’이라는 이름을 가졌다는 이유로 제 아이에게 와서 ‘내가 네 아버지다’라고 한다면 이것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겠습니까? 그러면 제 아이는 ‘나를 낳아주시고 나를 길러주신 이가 내 아버지다’라고 말할 것입니다.
마찬가지입니다. 다른 종교에서 ‘엘로힘’이라는 단어를 쓴다고 할지라도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
• 이 땅과 하늘을 창조하신 하나님(야훼 엘로힘 창 2:4),
•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나님,
• 이스라엘을 애굽에서 구원해 내신 하나님,
• 이스라엘을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으로 인도하신 하나님,
• 우리를 위해 십자가에 달리셨다가 부활하신 예수님,
• 장차 이 세상 만민을 심판하기 위해 다시 오실 예수님,
• 그리고 지금도 이 땅에서 우리를 도우시는 성령님,
바로 이분이 우리가 믿는 하나님입니다.
* 기도제목
1. 없는 것을 있게 하시는 창조주 하나님이
우리의 아버지가 되심에 감사하고 찬양합니다.
2. 하나님의 뜻대로 된 것을 보시고 기뻐하신 것처럼
우리도 주님 뜻대로 살게 하옵소서.
3. 모든 것에 질서를 세우신 것처럼
우리도 신앙의 질서대로 살게 하옵소서.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창세기1: 1)
<메시지>
모든 것의 시작은 이러하다. 하나님께서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
————————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이 얼마나 힘있는 선포입니까?
성경은 하나님의 존재를 증명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그냥 선포합니다.
어떻게 생각하면 매우 불친절하기까지 하지요.
우리는 그 앞에서 그것을 받아들이거나 말거나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밖에 없습니다.
세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세상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요?
우연히 시작되었다고 믿든지,
누군가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믿든지 둘 중 하나입니다.
성경은 그 시작이 하나님이시라고 당당하게 선포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 창세기 1장 1절만 확실히 마음에 새겨도
우리는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저 광할한 우주 공간을 지으신 광대하신 분,
한 송이 꽃을 지으신 섬세하신 분,
이 모든 천지만물을 지으신 분이 바로 우리 아버지시니까요.
창세기는 모세가 기록했습니다.
이집트를 나와서 가나안 땅을 향해 가고 있던 이스라엘 백성들이 대상이었지요.
하나님의 크신 능력을 경험하기는 했지만 아직 무지했던 그들에게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 이스라엘 백성의 뿌리는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하는 책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들도 이스라엘 백성의 마음으로 창세기를 읽어야 합니다.
2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
3 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
<메시지>
땅은 아무것도 없는 늪, 끝없이 깊은 공허, 칠흑 같은 어둠이었다. 하나님의 영은 물의 심연 위에 새처럼 내려앉으셨다.
하나님께서 말씀하셨다. “빛!” 하시니 빛이 생겨났다.
————————
하나님께서 빛을 만드시기 전 세상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성경은 혼돈하고 공허하고 흑암이 깊음 위에 있었다고 이야기합니다.
혼돈하다는 것은 무질서하다는 것입니다.
공허하다는 것은 텅 비어있다는 것입니다.
흑암이 있다는 것은 어두웠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위에 하나님의 영이 운행하고 계셨습니다.
세상은 하나님의 창조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지요.
이제 하나님께서는 창조를 시작하실 것입니다.
창조는 크게 두 모습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혼돈’을 질서 있고 조화롭게 만드신 것이고,
또 하나는 ‘공허’를 충만하고 아름답게 채우신 것이지요.
그리고 이 창조는 ‘흑암’을 빛으로 밝히시면서 시작하십니다.
생각해보면 우리 인생도 비슷합니다.
하나님을 알기 전 인생은 바로 혼돈하고 공허하며 어두운 상태입니다.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할 지 몰라 혼돈하고
내가 왜 살아야 하는지 몰라 공허하며
깜깜한 상태에서 한발 한발 나아가고 있지요.
그러다가 복음의 빛이 우리 인생에 들어옵니다.
내가 어떤 존재인지 알게 됩니다.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하는지 깨닫게 됩니다.
빛 가운데서, 빛을 향해 걸어가게 됩니다.
이전 것은 지나가고 새로운 피조물이 된 것입니다.
할렐루야!
3 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
4 빛이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빛과 어둠을 나누사
5 하나님이 빛을 낮이라 부르시고 어둠을 밤이라 부르시니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이니라
메시지
하나님께서 말씀하셨다. “빛!” 하시니
빛이 생겨났다.
하나님께서 보시니 그 빛이 좋았다.
하나님께서 빛과 어둠을 나누셔서,
빛을 낮이라 부르시고
어둠을 밤이라 부르셨다.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첫째 날이었다.
—————————-
성경은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시는 장면을 자세히 설명하지 않습니다.
우리들은 우주의 역사가 몇 년 전인지,
과학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쳐서 지금의 우주가 형성되었는지,
생물은 어떻게 출현하게 되었는지 궁금해하지만
성경은 자세한 이야기는 생략한 채 큰 흐름만 보여주고 있지요.
하나님께서 창조하시는 과정을 보면 일정한 패턴이 있습니다.
일단 말씀하십니다.
그러면 그대로 되지요.
그것이 하나님 보시기에 좋았습니다.
이렇게 3단계입니다.^^
이것은 먼저 말씀의 능력을 보여줍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헛되이 돌아가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뜻을 이룬 후에 돌아가지요.
하나님의 구원 또한 말씀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심지어는 요한복음은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을 말씀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말씀이 육신이 되어 이 땅에 오신 것입니다!
이제 우리에게는 기록된 말씀, 성경이 주어졌습니다.
오늘 하나님께서는 이 성경을 통해 우리 마음에 말씀하시지요.
성경이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가장 중요한 통로이며
하나님의 뜻을 보여주는 수단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말씀을 읽고 묵상하는데 힘써야 합니다.
그리고 그 약속의 말씀을 붙들고 기도해야 합니다.
이미 이루신 말씀들을 보며 하나님의 능력을 기억해야 하고
앞으로 이루실 말씀들을 보며 하나님의 일하심을 기대해야 합니다.
역사를 통해 이루시는 말씀들을 보며 경배해야 하고
나에게 이루실 말씀을 붙들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오늘도 말씀을 이루고 계십니다.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창 1:1-25; 계 4:1-11; 요 1:1-5)
1. 삼위일체 교회력 첫째 해(가해)를 맞이하며
▲ 삼위일체 교회력
삼위일체교회력 첫째 해 ‘가’해의 시작인 창조절 첫째주일입니다. 창조절은 9월 첫째 주일부터 시작하여 대림절 직전까지입니다. 태초에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셨다는 것을 믿을 뿐만이 아니라, 오늘도 계속해서 인간의 역사에 창조적으로 개입하시는 하나님의 뜻을 깨닫는 절기입니다. 또한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창조주 하나님의 도구가 되어 창조의 새 역사에 동참하도록 요청받는 절기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하나님의 창조가 태초에만 있었던 사건이 아니라, 오늘도 하나님의 창조는 계속된다는 믿음을 가지고 그 사역에 함께 해야 할 것입니다.
창조절의 상징 색깔은 생명창조를 뜻하는 녹색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해 많이 힘들고 고통스럽지만, 이제 새로운 절기인 창조절을 맞아 모든 것들이 회복되고, 또 새롭게 변화되기를 소원합니다. 사도 바울은 고린도후서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것이 되었도다(고후 5:17).” 그렇습니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더욱 더 새로워지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간절히 축원합니다.
잘 아시겠지만, 삼위일체교회력은 ‘창조절-대림절-성탄절-주현절-사순절-부활절-성령강림절’ 순서로 진행이 됩니다. 이렇게 한해의 절기가 완성이 되는 것입니다. 이 절기들의 성격을 보면, 성부의 절기인 창조절과 대림절이 있고, 그 다음 성자의 절기인 성탄절과 주현절, 사순절과 부활주일 전후가 이어집니다. 그리고 성령의 절기인 부활절과 성령강림절입니다.
오늘 세 본문 말씀을 통하여 우리는 하나님의 천지창조의 모습을 창세기를 통해서 엿볼 수 있습니다. 나아가 요한복음서의 지평에서는 이러한 천지 창조 때, 함께 계신 말씀, 곧 예수 그리스도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신 것입니다. 물론 창세기 1장에 성령도 나옵니다. 바로 ‘하나님의 영(창 1:2)’이 성령입니다. 이렇게 삼위일체 되신 하나님께서 천지 만물을 창조하신 것입니다. 그러나 복음서 말씀에 의하면, 만물이 예수님으로 말미암아 지은 바 되었고, 또한 그 안에 생명이 있어 이 땅에 성육신하여 오셨으나, 사람들이 깨닫지 못했다고 합니다(요 1:3-5).
따라서 요한계시록 말씀을 통해 창조주 하나님은 심판주 하나님으로 다시 재창조를 시작하시는 것입니다. 그러한 하나님께 오늘 요한계시록은 모든 피조물들이 찬양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하늘 보좌에서 영원토록 찬양받으실 창조주 하나님의 모습을 사도 요한의 환상을 통해 보여주는 것입니다.
2.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던 세상
구약 말씀부터 볼까요? 오늘 구약 본문은 삼위일체교회력 첫째해인 ‘가’해를 맞아 창세기 1장 1절부터 시작됩니다.
▲ 창세기의 우주관과 천지창조 순서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 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 빛이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빛과 어둠을 나누사, 하나님이 빛을 낮이라 부르시고 어둠을 밤이라 부르시니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이니라.”(창 1:1-5)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시기 전에는 혼돈(카오스)과 공허, 흑암(어둠)이 깊음 위에 있었고, 이 세상은 물(수면)로만 가득 찬 세상이었습니다. 말 그대로 카오스죠? 그 무질서에 하나님께서는 질서를 만드십니다. 먼저 빛을 창조하시죠? 그리고 빛과 어둠을 나누십니다. 빛을 낮으로, 어둠을 밤으로 부르셨던 날이 바로 첫째 날입니다.
“하나님이 이르시되, 물 가운데에 궁창이 있어 물과 물로 나뉘라 하시고, 하나님이 궁창을 만드사 궁창 아래의 물과 궁창 위의 물로 나뉘게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하나님이 궁창을 하늘이라 부르시니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둘째 날이니라.”(창 1:6-8)
그 다음 하나님께서는 물을 궁창(라키아, 둥근 천장)으로 나누십니다. 궁창은 활 모양의 천장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이렇게 궁창 위의 물과 궁창 아래의 물로 나누시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궁창을 하늘이라고 부르십니다. 또 하루가 지납니다. 둘째 날입니다. 그런데 가만히 보면, 하나님의 창조 작업은 나누는 것입니다. 구분하는 것이죠? 무질서와 질서, 궁창 위 물과 궁창 아래 물처럼 나누는 것입니다. 셋째 날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나님이 이르시되, 천하의 물이 한 곳으로 모이고 뭍이 드러나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하나님이 뭍을 땅이라 부르시고 모인 물을 바다라 부르시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이르시되,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라 하시니 그대로 되어 땅이 풀과 각기 종류대로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셋째 날이니라.”(창 1:9-13)
이번에는 물을 나누십니다. 물을 한 곳으로 모아 구분하니 뭍, 곧 땅이 드러납니다. 그리고 땅과 바다를 구분하십니다. 이렇게 구분이 끝난 후에, 땅에는 각종 식물을 내도록 하십니다.
“하나님이 이르시되, 하늘의 궁창에 광명체들이 있어 낮과 밤을 나뉘게 하고 그것들로 징조와 계절과 날과 해를 이루게 하라. 또 광명체들이 하늘의 궁창에 있어 땅을 비추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하나님이 두 큰 광명체를 만드사 큰 광명체로 낮을 주관하게 하시고 작은 광명체로 밤을 주관하게 하시며 또 별들을 만드시고, 하나님이 그것들을 하늘의 궁창에 두어 땅을 비추게 하시며 낮과 밤을 주관하게 하시고 빛과 어둠을 나뉘게 하시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넷째 날이니라.”(창 1:14-19)
넷째 날에는 궁창, 곧 하늘에 광명체들을 창조하십니다. 낮에는 큰 광명체인 태양을, 밤에는 작은 광명체인 달과 별들을 통해 땅을 비추게 하십니다. 여기서도 낮과 밤을 나누고, 빛과 어둠을 나누시죠? 그리고 다섯째 날이 이어집니다.
“하나님이 이르시되, 물들은 생물을 번성하게 하라. 땅 위 하늘의 궁창에는 새가 날으라 하시고 하나님이 큰 바다 짐승들과 물에서 번성하여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그 종류대로, 날개 있는 모든 새를 그 종류대로 창조하시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여러 바닷물에 충만하라. 새들도 땅에 번성하라 하시니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다섯째 날이니라.”(창 1:20-23)
다섯째 날에는 물을 통해 생물을 번성하게 하십니다. 최초의 철학자 탈레스(Thales of Miletus)도 만물의 근원이 물이라고 했는데, 물을 통한 생명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늘에는 새를 종류대로 창조하시어, 생육하고 번성하라고 하십니다. 그리고 여섯째 날이 이어집니다.
“하나님이 이르시되, 땅은 생물을 그 종류대로 내되, 가축과 기는 것과 땅의 짐승을 종류대로 내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하나님이 땅의 짐승을 그 종류대로, 가축을 그 종류대로, 땅에 기는 모든 것을 그 종류대로 만드시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창 1:24-25)
하나님께서 땅에 생물(living the creature)과 짐승(beast), 가축(livestock)과 기는 모든 것(creeping thing, 파충류)을 종류대로 만드셨습니다. 여기서 짐승과 가축의 구분이 재미있습니다. 가축은 우리 인간이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정착 생활을 하고, 사냥 대신 집에서 기를 수 있는 짐승을 길들였기 때문에 생긴 것입니다. 따라서 농경문화, 혹은 목축 생활을 전제로 해야 이해가 되는데, 창조 때부터 어떤 동물은 가축으로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천지 만물의 창조는 누구의 관점으로 읽어야 할까요? 바로 인간의 관점입니다. 왜냐하면 천지 창조의 피날레가 인간 창조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 말씀은 다음 주 세 본문 말씀에 나옵니다.
아무튼 인간을 위해 하나님은 혼돈에 질서를 부여하고, 인간이 살 수 있도록 물을 궁창 위와 아래로 나누고, 또 물을 한쪽으로 구분하여 땅을 내십니다. 땅과 바다에 생물을 창조하시고, 또 동물 가운데 가축을 만들어 인간이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든 것입니다. 따라서 창세기는 ‘신본주의(神本主義)’를 넘어 인본주의(人本主義)로 읽어야만 제대로 읽게 됩니다. 물론 이 인본주의는 인간 중심주의입니다. 인간을 위한 하나님의 창조 역사인 것입니다. 창세기의 내용을 이렇게 본다면 축자 영감으로 성서를 읽는 이들이 도전을 받습니다.
3. 축자영감설과 성경무오설
축자영감설(逐字靈感說, verbal inspiration)은 ‘성서는 글자까지도 하나님의 영감으로 기록되었기 때문에 단 한 글자도 한 문장도 틀림이 없으며, 이로 인해 오류가 없는 사실’이라고 주장하는 기독교 근본주의적 성경관입니다. 여기서 한자 ‘축(逐)’자는 ‘쫓다’라는 말인데, 따라서 ‘축자’라는 말은 ‘문자를 쫓는다’는 말입니다. 물론 이러한 축자영감설은 전통적인 ‘성경무오설과 유사한 것으로 보이지만, 전혀 다릅니다.
성경무오설(聖經無誤說, Biblical inerrancy)은 ‘인류 구원을 위한 복음을 담은 성경의 권위’를 강조하는 기독교적 성경관입니다. 성경의 권위는 인류를 구원하기 위한 하나님의 말씀이기에 그 권위를 인정하는 것이지, 문자 하나 하나에 권위와 영감을 부여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특히 성서가 쓰여진 원래 언어인 구약 히브리어와 신약 헬라어에서 다른 언어로 번역될 경우, 인간의 언어와 사고가 다르기에, 국가와 시대, 그리고 사상과 문화에 따라 성서의 의미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성서 문자보다는 인류 구원을 위한 복음의 측면에서 성경의 권위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전통 교회의 관점입니다.
이러한 성경무오설은 4세기부터 전해진 교회의 전통입니다. 성경에 기록된 복음이 무오하다는 의미이지, 성경의 글자에 오류가 없다는 말은 아닙니다. 그런데 오늘 대부분의 한국 교회가 이 축자영감설에 빠져있습니다. 따라서 한국 장로교의 분열의 역사, 곧 기장과 예장의 분열이 바로 여기서 시작되었습니다. 성경무오설이냐? 성경축자영감설이냐!
▲ 1953년 4월 대구 서문교회에서 열린 대한예수교장로회 39회 총회에서 조선신학교 김재준 교수를 제명하자 한국기독교장로회가 조직되었다. 사진은 39회 총회에 참석한 총대들.
아무튼 하나님의 천지창조를 믿는 믿음은 하나님의 존재를 인정하고 성경에 들어가는 첫 관문입니다. 이러한 창세기 본문을 문자적으로 읽으면서 과학과 접목시키면 성경을 잘못 읽게 됩니다. 인류 구원에 관한 하나님의 복음에 오류가 없다는 관점으로, 즉 구원론과 하나님의 인간 사랑의 관점에서 맥락적으로 읽으면 성경의 원래 의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4.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지은바 되었으나, 어둠이 빛을 깨닫지 못하더라
다시 성경 말씀으로 돌아가 볼까요? 오늘 복음서 말씀도 창세기 말씀과 같이 천지 창조, 곧 태초의 상황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말씀을 볼까요?
“태초에 말씀(Λόγος)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 그가 태초에 하나님과 함께 계셨고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지은 바 되었으니, 지은 것이 하나도 그가 없이는 된 것이 없느니라.”(요 1:1-3)
신약의 지평은 창조주 하나님과 창조 사역을 함께 하신 성자 예수님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물론 여기서 말씀으로 번역된 로고스는 당시 헬라 철학의 ‘우주의 이치’, ‘만물의 원리’, 곧 세상 모든 것의 ‘도(道)’입니다. 히브리 지평에서 헬라 지평으로 인식이 확대되면서 복음과 성서를 받아들이는 우리 인간의 인식이 넓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하나님의 속성도 이제 구약 창세기에 나오는 성부 하나님과 성령 하나님뿐만이 아니라, 성자 하나님, 곧 예수 그리스도로 이어지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속성으로 확장이 되는 것입니다.
아무튼 요한은 로고스, 곧 성자 예수님을 이렇게 표현합니다. “그 안에 생명이 있었으니, 이 생명은 사람들의 빛이라. 빛이 어둠에 비치되, 어둠이 깨닫지 못하더라(요 1:4-5).” 그렇습니다. 빛 되신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셨지만 사람들은 깨닫지 못하고 그를 십자가에 못 박았습니다. 따라서 성부의 절기인 창조절을 지내며,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좋았던 이 세상’이 고통을 받고 있음을 봅니다.
이것은 바로 인간을 위한 하나님의 창조 사역인 천지 창조가 이제 인간들에 의해, 인간만을 위한 생태계 파괴로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바로 인본주의(人本主義)입니다.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던 세상이 인간의 욕망과 탐욕으로 말미암아, 지금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이 지금 코로나 바이러스의 위기와 태풍, 그리고 폭우 등의 피해를 인간의 생태계 파괴와 그로 인한 기후위기로 보고 있습니다. ‘자연재앙’이 아니라, ‘인간이 만든 재앙’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성경을 축자영감설로 읽었던 오류입니다. 성경을 제대로 잘못 읽어서 그렇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하나님과 하나님의 모든 피조물과 함께하는 인본주의가 되어야 하지, 인간만을 위한 인본주의는 이처럼 비극을 낳게 됩니다. 그 결과 심판은 피할 수 가 없습니다. 요한계시록의 말씀이 바로 그런 의미입니다.
5. 만물이 주의 뜻대로 있었고, 지으심을 받았나이다
요한계시록은 크게 3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부분은 과거의 사건입니다. 1장 1절에서 20절까지입니다. 두 번째 부분은 현재의 모습입니다. 소아시아 일곱 교회의 모습입니다(2:1-3:22). 그리고 마지막 부분이 미래의 사건인데, 4장 1절부터 마지막까지입니다. 여기서 종말적 대사건, 곧 장차 될 일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 시작이 바로 오늘 본문 말씀입니다. 심판하시는 하나님께서 앉아 계시는 보좌에 관한 요한의 환상입니다. 그 환상을 들어볼까요?
“이 일 후에 내가 보니, 하늘에 열린 문이 있는데 내가 들은 바, 처음에 내게 말하던 나팔 소리 같은 그 음성이 이르되, 이리로 올라오라. 이 후에 마땅히 일어날 일들을 내가 네게 보이리라 하시더라.”(계 4:1)
요한이 들은 음성은 이제 미래에 일어날 일들을 요한에게 보여주겠다는 것입니다.
“내가 곧 성령에 감동되었더니, 보라! 하늘에 보좌를 베풀었고 그 보좌 위에 앉으신 이가 있는데, 앉으신 이의 모양이 벽옥과 홍보석 같고 또 무지개가 있어 보좌에 둘렸는데 그 모양이 녹보석 같더라. 또 보좌에 둘려 이십사 보좌들이 있고, 그 보좌들 위에 이십사 장로들이 흰 옷을 입고 머리에 금관을 쓰고 앉았더라.”(계 4:2-4)
▲ 사진 좌: 파쿤도 베아투스 어린 양, 네 그룹천사 그리고 24장로들의 환상(1047); 사진 우: 독일 밤베르크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목판화 밤베르크 묵시록의 하늘 보좌 앞의 예배(1000-20).
하나님께서 보좌에 앉으셨고 그 주위에는 이십사 보좌가 있는데, 그곳에 이십사 장로들이 앉아 있습니다. 이렇게 보좌와 보좌 주변의 모습을 소개하고는 보좌의 음성을 들여줍니다.
“보좌로부터 번개와 음성과 우렛소리가 나고 보좌 앞에 켠 등불 일곱이 있으니, 이는 하나님의 일곱 영이라. 보좌 앞에 수정과 같은 유리 바다가 있고, 보좌 가운데와 보좌 주위에 네 생물이 있는데, 앞뒤에 눈들이 가득하더라.”(계 4:5-6)
여기서 네 생물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 네 생물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이어집니다.
“그 첫째 생물은 사자 같고, 그 둘째 생물은 송아지 같고, 그 셋째 생물은 얼굴이 사람 같고, 그 넷째 생물은 날아가는 독수리 같은데, 네 생물은 각각 여섯 날개를 가졌고 그 안과 주위에는 눈들이 가득하더라. 그들이 밤낮 쉬지 않고 이르기를 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 주 하나님 곧 전능하신 이여! 전에도 계셨고 이제도 계시고 장차 오실 이시라 하고”(계 4:6-8)
사자와 송아지, 사람과 독수리를 닮은 여섯 날개를 가진 네 생물이 하나님을 밤낮 찬양합니다. 그리고 이십사 장로들도 보좌에 앉으신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그 생물들이 보좌에 앉으사, 세세토록 살아 계시는 이에게 영광과 존귀와 감사를 돌릴 때에 이십사 장로들이 보좌에 앉으신 이 앞에 엎드려, 세세토록 살아 계시는 이에게 경배하고 자기의 관을 보좌 앞에 드리며 이르되, 우리 주 하나님이여! 영광과 존귀와 권능을 받으시는 것이 합당하오니, 주께서 만물을 지으신지라. 만물이 주의 뜻대로 있었고 또 지으심을 받았나이다 하더라.”(계 4:9-11)
▲ 네 생물
여기서 네 생물을 축자적, 혹은 문자적으로 읽게 되면 이상하게 빠집니다. 상징으로 보아야 합니다. 물론 초대 교회는 이 네 생물을 구약 에스겔서의 네 생물과 연결하여 해석합니다. 에스겔이 본 환상을 찾아볼까요? “그 네 생물의 얼굴과 날개가 이러하니, 그 얼굴의 모양은 넷의 앞은 사람의 얼굴이요, 넷의 오른쪽은 사자의 얼굴이요, 넷의 왼쪽은 소의 얼굴이요, 넷의 뒤는 독수리의 얼굴이니”(겔 1:10)
또한 신약의 네 복음서와 이 생물을 연결시키기도 합니다. 가령 사자는 왕을 상징하는 마태복음을, 사람은 종의 모습으로 오신 인간 예수님을 상징하는 마가복음으로, 그리고 송아지는 희생제물을 상징하기에 소외되고 버림받은 약자들을 사랑하는 누가복음의 예수님으로, 마지막 요한복음은 영적인 말씀이기에 독수리와 같은 밝은 눈, 곧 혜안을 가진 것으로 연결시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런 전통적인 해석 방법을 받아들이지는 않습니다. 물론 신천지는 이 네 생물을 천사들을 지휘하는 네 천사장으로 이야기 하며 그 천사장의 자리에 누가 앉을 것인가 경쟁을 시키고, 또 경쟁을 합니다.
그러나 대다수 신학자와 성서 해석자들은 이 네 생물을 각 분야의 대표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창세기와 요한계시록의 전체 맥락에서 보면 이 해석이 가장 타당합니다. 가령 사자는 ‘야생 동물의 왕’이고, 독수리는 ‘새들의 왕’이죠, 또한 소는 ‘가축 중에서 최고’인 동물입니다. 그리고 사람은 ‘만물의 영장’이죠? 이것은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모든 피조물을 뜻하는 것입니다. 그 피조물 모두가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입니다.
물론 당시 사도 요한의 상황을 살펴보면, 네 생물은 사자의 ‘용기’와 송아지의 ‘인내’, 사람의 ‘지혜’와 독수리의 먼 곳을 바라보는 ‘혜안’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또한 요한 당시 로마 제국에 의해 교회가 핍박을 받고 있을 때, 그리스도의 제자들이 용기와 인내, 그리고 지혜와 혜안을 가지고, 그 위기를 잘 이겨내라는 하나님의 계시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결국 이 모습은 천국 예배 광경입니다. 어쩌면 이 모습이 창조의 모습이며 종말의 모습입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찬양을 받으실 분이며 영원토록 우리가 찬양과 영광을 돌려야 할 분이신 것입니다. 따라서 오늘 본문 말씀의 제목이자, 창세기 1장 1절 말씀인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라는 말씀은 모든 기독교 신학과 신앙의 알파와 오메가가 됩니다. 이러한 창조주 하나님께 영광과 찬양을 돌리는, 푸른 하늘 보다 더 아름다운 창조절기가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간절히 축원합니다.
최병학 목사(남부산용호교회)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에큐메니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에 대한 정보 태초 에 하나님 이 천지 를 창조 하시니라
다음은 Bing에서 태초 에 하나님 이 천지 를 창조 하시니라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태초에 하나님이 (창세기 1장 1절) 신나는 어린이 찬양 말씀암송 율동 [조이챈트 시즌1] (JOY CHANT GEN 1:1)
- 창세기
- 말씀송
- 율동
- 영아송
- 율동찬양
- 말씀찬양
- 어린이용찬양
- 말씀율동
- 유아용
- 영유아
- 영유아찬양
- 찬양
- 말씀
- 챈트
- 조이챈트
- 요절송
- 암송
- 구절
- 기린쌤
- 토끼쌤
- 띵곡모음
- 띵곡찬양
- 띵곡
- 즐거운찬양
- 태교말씀
- 구름배경
- 신촌하나교회
- 조이스쿨
- 수면찬양
- 어린이용
- 재밌는찬양
- 학령기전
- 재밌는율동
- 아이들이 따라할 수 있는 율동
- 아이들이 좋아하는 노래
- 노래
- 율동노래
- 신촌교회
- 교회찬양
- 어린이찬양
- 하나무브먼트
- 하나워십무브먼트
- 1장1절
- 창세기1장1절
- 시리즈
태초에 #하나님이 #(창세기 #1장 #1절) #신나는 #어린이 #찬양 #말씀암송 #율동 #[조이챈트 #시즌1] #(JOY #CHANT #GEN #1:1)
YouTube에서 태초 에 하나님 이 천지 를 창조 하시니라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태초에 하나님이 (창세기 1장 1절) 신나는 어린이 찬양 말씀암송 율동 [조이챈트 시즌1] (JOY CHANT GEN 1:1) | 태초 에 하나님 이 천지 를 창조 하시니라,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