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태음 화 사주 – 사주에 나무나 불이 있으면 이걸로 대박날 수 있습니다 ㅣ사주로 보는 내 성공 시나리오“?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kamuslirik.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kamuslirik.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도화도르- 사주팔자 쉽게 풀어주는 남자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68,141회 및 좋아요 3,509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태음 화 사주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사주에 나무나 불이 있으면 이걸로 대박날 수 있습니다 ㅣ사주로 보는 내 성공 시나리오 – 태음 화 사주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도하!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주 팔자에 목과 화를
가지고 있는 분들이 참고 하면 좋을
살아가는 방법, 활용법, 개운법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려고 해요!
자세한 내용은 블로그에
꽉꽉 담았으니,
네이버 : 목 많은 사주 혹은 화 많은 사주 라고 검색하시고 찾아보시면
더 디테일하게 보실 수 있으실 거예요☺️
이 시리즈는 금수 / 토 도 연재해드릴 거에요💡
어떤 사주는 목이 강할 수도 있고,
목과 금이 동시에 강할 수도 있어요 :^)
그래서 필요한 부분은 잘 취용해주셔서 활용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오늘도 모쪼록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그럼 좋은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
도르드림,
#사주 #사주에목이많으면 #사주에불이많으면
태음 화 사주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역학기초] 2. 사주 오행의 특징
소양(小陽), 목(木), 봄, 東. 태양(太陽), 화(火), 여름, 南. 토(土), 사계절, 中. 소음(小陰), 금(金), 가을, 西. 태음(太陰), 수(水), 겨울, 北 …
Source: celinsaju.tistory.com
Date Published: 11/3/2021
View: 9676
Top 30 태음 화 사주 Top 79 Best Answers
사주 오행의 특징 소양(小陽), 목(木), 봄, 東. 태양(太陽), 화(火), 여름, 南. 토(土), 사계절, 中. 소음(小陰), 금(金), 가을, 西. 태음(太陰), 수(水), …
Source: chewathai27.com
Date Published: 7/9/2021
View: 8767
사상의학(四象醫學) – 네이버 블로그
즉 오행에서는 화를 태양, 목을 소양, 수를 태음, 금을 소음으로 보는 데, … 하지만 사상의학과 사주의학을 결합하여 개인의 체질을 판단한다면 …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8/24/2021
View: 6449
사주에 나무나 불이 있으면 이걸로 대박날 수 있습니다 ㅣ사주로 …
태음 화 사주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역학기초] 2. 사주 오행의 특징; 사상체질과 오행 – 신상사주; 권우상 칼럼 – 결혼하기 …
Source: ko.taphoamini.com
Date Published: 2/21/2021
View: 8371
사주의 기초, 음양 오행(五行)
목(木)은 소양(小陽)으로 봄에 기운을 말하고, 화(火)는 태양(太陽)으로 여름에 기운을 … 수(水)는 태음(太陰)으로 겨울에 기운을 말 합니다.
Source: bic1126.tistory.com
Date Published: 1/17/2021
View: 4802
권우상 칼럼 – 결혼하기 어려운 여자 팔자 – 구미일보
관살(官煞)이 없어도 재(財)가 관(官)을 생해주면 결혼할 수 있지만 이 사주는 그렇지 못하다. 년지(年支)에 있는 편재인 화(火)가 정관인 토(土)와 …
Source: www.gmilbo.net
Date Published: 5/25/2021
View: 2192
사주공부 음양오행 목의 기운과 성질에 관하여 – colcol media
사주추명학은 열가지의 천간과 열 두가지의 지지를 음과 양 및 오행으로 … 화는 역경에서 말하는 태양에서, 목은 소양에서, 수는 태음에서 금은 …
Source: goodinj.tistory.com
Date Published: 6/18/2021
View: 6479
Top 18 태음 화 사주 16460 Votes This Answer
Top 18 태음 화 사주 16460 Votes This Answer … 태음 화 사주 태양 화 사주, 태음인, 소양목 사주, 사상의학 테스트, 화 토 많은 사주, 태양 태음, …
Source: toplist.xosotanphat.com
Date Published: 10/17/2021
View: 8013
체질이야기(음양오행체질) > 한방상식 | 편한세상한의원
혈액형과 같이 태어나면서 가지게되는 성정 – 태양 태음 소양 소음 네가지 … 예를 들어 타고나기를 태음으로 타고 났는데 성장과정에서 화의 기운을 …
Source: painok.net
Date Published: 4/16/2021
View: 1894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태음 화 사주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사주에 나무나 불이 있으면 이걸로 대박날 수 있습니다 ㅣ사주로 보는 내 성공 시나리오.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태음 화 사주
- Author: 도화도르- 사주팔자 쉽게 풀어주는 남자
- Views: 조회수 168,141회
- Likes: 좋아요 3,509개
- Date Published: 2021. 8. 27.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pNOqeQE-8VY
[역학기초] 2. 사주 오행의 특징
사주 음양오행에 대해 근본적이고 기본적인 오행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행의 기운과 특징을 아래 표와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보통 우리가 ‘태양인, 소양인’의 체질적인 모습을 사주 오행과 관련지어 연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오행의 기본 특징>
팽창 소양(小陽) 목(木) 생명이 뚫고 나오는 첫 기운 태양(太陽) 화(火) 생명이 최대로 분열하여 성장하는 기운 토(土) 수축과 팽창을 중재하여 부드럽고 순조롭게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기운 수축 소음(小陰) 금(金) 생명을 수렴하는 첫기운 태음(太陰) 수(水) 생명이 완전히 수렴된 한 점으로 뭉쳐 저장하는 기운
<오행의 발생과 계절 방위의 배치>
소양(小陽) 목(木) 봄 東 태양(太陽) 화(火) 여름 南 토(土) 사계절 中 소음(小陰) 금(金) 가을 西 태음(太陰) 수(水) 겨울 北
<오행의 갖가지 형상들 특징>
오행의 갖가지 형상들 木 火 土 金 水 기본형 나무 불 흙 쇠 물 성질 생성 성장,분열 조화, 완성 수렴, 결실 응집, 휴식 하루 아침 한 낮 고루 분포 저녁 한 밤 기후 바람 더위 장마 맑음 추위 인생 소년기 청년기 중년기 장년기 노년기 맛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숫자 3,8 2,7 5,10 4,9 1,6 육부 쓸개 소장,삼초 위 대장 방광
나의 오행에 따라 내 성질과 비교해보면, 다소 부합하는 것들이 많이 있을 듯합니다.
특히, 인생 소년기(목) → 청년기(불) → 중년기(토) → 장년기(금) → 노년기(수)가 성향과 부합합니다. 목으로 태어난 사람들은 아이처럼 활발하고 호기심이 왕성한 성향이 있고, 물로 태어난 사람은 모든 것을 해탈하고 이해하고 만물을 바라보는데 조금 어른스러운 면이 있죠.
이렇게 오행은 단계적으로 변화합니다. 좀더 자세히 단계적인 변화를 보여드리겠습니다.
<변화의 1단계 : 木>
양기의 시작이고, 수에 뿌리를 박고서 수축되었던 생명이 처음에 한 방향으로 뚫고 나오는 기운을 말합니다. 만물의 탄생이 이루어집니다. 목은 불발하는 기상을 대표적으로 말하는데 이것을 일러 생(生)이라고 합니다. 그 모습을 용출, 분출이라고 말하고, 목기의 성질을 나타냅니다. 날쌔고 용감하게 있는 힘을 다 쓰는 모양이고, 용감하게 뛰쳐나오고, 뿜어져 나오는 그런 뜻입니다. 이것으로 힘이 집중되어 있는 목의 활동 상태를 나타냅니다.
목은 수(水)를 발판으로 하는 것이므로 힘과 욕심이 강합니다. 수란 원래 응고가 심하여 용력을 내부 깊숲이 감추어 있을 뿐이고 뜻을 이루어 내지는 못하나, 그것도 때가 이르면 목기로 변질되면서 그 힘이 활동하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응고를 위주로 하던 수기도 이때가 되면 점점 약화되고, 약기는 어둠 깊은 곳으로부터 탈출하게 되므로, 여기에서 양의 활동은 시작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목기의 활동이며 힘인 것입니다.
수기를 바탕으로 발전하던 목기는 그가 점점 발전하는 동안에 이미 수기로써 조성해 놓았던 튼튼한 형질은 점차 엷어지게 되면서 때가 되면 화기로 화하게 되는 것입니다. 목은 수의 형질이 운동하는 최초 단계 모습입니다.
<변화의 2단계 : 火>
양의 기운이 왕성한 것이고, 목기를 통해 한 방향으로 뚫고 나온 생명이 사방팔방으로 무질서하게 흩어지며 성장하는 기운입니다. 화기는 분산을 위주로 하는 기운입니다. 목의 형태로 출발한 우주의 변화는 목기가 다하려고 할 때에 기운의 전환을 가져오는 데 그 기운을 화라고 하며, 변화 작용의 제 2단계인 것입니다.
자연계에서 관찰하면 이것은 꽃이 피고 가지가 버려지는 때이므로, 이때는 만화방창한 아름다움은 위세를 최고도로 뽐내는 때이지만 그 내용은 이미 공허하기 시작하는 때이며, 사람으로 치자면 큰소리치는 사람치고 실속 있는 사람 없는 법입니다.
<변화의 3단계 : 土>
화기가 분열하고 분열하다가 더 이상 분열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하고 정지해 있을 때, 그 정지한 상태의 모습입니다. 우주가 음과 양의 운동을 하는데 이 우주가 영원히 순환 할 수 있게 해주고, 이질적인 음과 양의 기운이 서로 조화되어 돌아가게 해주는 그 조화의 주체가 토입니다. 토가 있기 때문에 이 우주는 영원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토는 우주조화의 본체가 됩니다.
또한 오행의 성질 가운데서, 금과 화는 서로 용납할 수 없는 성질입니다. 그러므로 발전이 끝나게 되어 금이 화를 포장하려고 해도 화의 염열은 금기를 충분히 거부할 능력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어떠한 다른 기운이 중재하지 않으면 금이 화를 도저히 포장할 수가 없습니다. 이를 금화상쟁이라 합니다. 이와 같이 토의 자연성에 의해서 목화의 생장과 금수의 수장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것이 변화의 제 3단계 입니다.
<변화의 4단계 : 金>
토를 지나서 금으로 가는데, 금은 음기의 시작이고, 한없이 흩어질 수 없는 상태까지 분열된 화를 토의 도움을 받아 거두어 수렴하는 단계입니다.
금과 목은 그 성질이 전혀 반대입니다. 목은 내부에 있떤 양이 표면ㅇ로 용출하려는 발전의 최초 단계이고, 금은 바깥의 양이 다시 안속으로 잠복하려는 수장의 최초의 단계입니다. 만물은 봄에는 양이 표면으로 발산하려고 하여, 밖의 표면이 부드럽고 연하게 되지만, 가을에는 양이 내부에 잠복되어 고요히 잠들려고 하니, 밖의 표면이 점점 딱딱하여져서 양기를 포장할 준비를 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금기는 표면을 딴딴하게 변화시키면서 양을 포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지, 결코 그 속까지 견고하게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금기가 작용할 때에는 양의 성질이 강하다고 보는 것입니다.
<변화의 5단계 : 水>
음의 기운이 왕성한 것으로, 금을 통해 수렴되면서 외부의 굳어진 것을 그 속까지 단단하게 응고시켜 한 점으로 뭉쳐 저장하는 기운입니다.
수기는 응고하여 형체를 만들고, 형체 안에서 양이 완전 수장되어 정과 핵을 만들어 만물의 생명을 창조합니다. 즉, 수는 통일 된 자리이고, 분열의 기반입니다. 수기는 삼라만상을 창조함과 형제와 정신을 만드는 두 가지 요소를 모두 지니고 있습니다. 이것이 변화의 5단계 입니다.
음양이 분화된 오행이 목화토금수로 변화의 단계를 거치면서, 생성, 성장, 수렴, 저장하는 원리를 음양오행의 운동법칙이라 하며, 우주의 모든 변화가 이 법칙 밖에서는 일어 날 수 가 없습니다.
오행에서 목과 화는 양적인 성질을, 금과 수는 음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토는 양적인 목화와 음적인 금수를 도와서 연결해주는 중재하는 성분으로 음양을 다 가진 중성적인 성분입니다. 그러므로 음양 모두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2019/04/16 – [01. 오행의 속성/- 나무(木)] – [역학기초] 큰 나무, 갑목 사주 특징
2019/04/18 – [01. 오행의 속성/- 불(火)] – [역학기초] 따뜻한 촛불, 정화 사주 특징
2019/04/21 – [01. 오행의 속성/- 금(金)] – [역학기초] 큰 바위, 경금 사주 특징
Top 30 태음 화 사주 Top 79 Best Answers
사주에 나무나 불이 있으면 이걸로 대박날 수 있습니다 ㅣ사주로 보는 내 성공 시나리오
사주에 나무나 불이 있으면 이걸로 대박날 수 있습니다 ㅣ사주로 보는 내 성공 시나리오
티스토리 뷰
티스토리툴바
Read More
태그
관련글
댓글2
공지사항
최근글
인기글
최근댓글
태그
티스토리툴바
Read More
권우상 칼럼 – 결혼하기 어려운 여자 팔자
포토이슈
금주의 HOT 클릭
기업탐방
뉴스와 인물
【손중호 대한산악연맹 회장 – 임인년 신년사】
【백선기 칠곡군수 – 임인년 신년사】
【윤재호 구미상공회의소 회장 – 임인년 신년사】
【장세용 구미시장 – 임인년 신년사】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 임인년 신년사】
Read More
카테고리 이동
한울역학연구소
이 블로그
사주의학
카테고리 글
카테고리
이 블로그
사주의학
카테고리 글
Read More
Read More
Read More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사주공부 음양오행 목의 기운과 성질에 관하여
Article author: goodinj.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30195 Ratings
Ratings Top rated: 4.8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사주공부 음양오행 목의 기운과 성질에 관하여 사주추명학은 열가지의 천간과 열 두가지의 지지를 음과 양 및 오행으로 … 화는 역경에서 말하는 태양에서, 목은 소양에서, 수는 태음에서 금은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사주공부 음양오행 목의 기운과 성질에 관하여 사주추명학은 열가지의 천간과 열 두가지의 지지를 음과 양 및 오행으로 … 화는 역경에서 말하는 태양에서, 목은 소양에서, 수는 태음에서 금은 … 오행은 무엇인가. 오행은 목, 화, 토, 금, 수를 말한다. 사주추명학은 열가지의 천간과 열 두가지의 지지를 음과 양 및 오행으로 분류하여 그 상호관계에 의해 사람의 운명을 예지하는 것이다. 고로 사주추명학의..
Table of Contents:
티스토리 뷰
티스토리툴바
사주공부 음양오행 목의 기운과 성질에 관하여
Read More
사주의 음양오행의 정의 :: 안녕:) 사주앤타로
Article author: tarotsaju.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27372 Ratings
Ratings Top rated: 3.8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사주의 음양오행의 정의 :: 안녕:) 사주앤타로 목은 소양(小陽)으로 봄의 기운을 말하고, 화는 태양(太陽)으로 여름의 기운을 가지고 있다. 금은 소음(小陰)으로 가을을 말하고, 수는 태음(太陰)으로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사주의 음양오행의 정의 :: 안녕:) 사주앤타로 목은 소양(小陽)으로 봄의 기운을 말하고, 화는 태양(太陽)으로 여름의 기운을 가지고 있다. 금은 소음(小陰)으로 가을을 말하고, 수는 태음(太陰)으로 … 사주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근본이 되는 기초는 바로 음양오행이다.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의 성격과 기질로 사주를 풀이하고 이해하게 된다. 이 음양오행은 다섯가지 계절을 의미한다. 단순히..당신 인생에 일기예보 같은 별책부록, 사주앤타로입니다:)
Table of Contents:
TAG
관련글 관련글 더보기
인기포스트
사주의 음양오행의 정의 :: 안녕:) 사주앤타로
Read More
15- 토土의 기운이 강한 사주팔자의 성격 – 주간함양
Article author: m.hynews.kr
Reviews from users: 41992 Ratings
Ratings Top rated: 4.4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15- 토土의 기운이 강한 사주팔자의 성격 – 주간함양 특히 외부로 분열하고 확산되는 화火의 기운을 다시 내부를 향해 수축하며 끈끈해지는 기운이기도 하다. 그래서 토土의 기운이 강한 사주팔자는 바라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15- 토土의 기운이 강한 사주팔자의 성격 – 주간함양 특히 외부로 분열하고 확산되는 화火의 기운을 다시 내부를 향해 수축하며 끈끈해지는 기운이기도 하다. 그래서 토土의 기운이 강한 사주팔자는 바라 … 이번에는 토土의 기운이 강한 사주팔자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첫째, 토土의 기운은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고 도와주고 중재하는 기운으로 방위方位적으로도 오행五行의 중앙에 속한다. 특히 외부로 분열하고 확산되..15- 토土의 기운이 강한 사주팔자의 성격
Table of Contents:
15- 토土의 기운이 강한 사주팔자의 성격 – 주간함양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Top 721 tips update new.
[역학기초] 2. 사주 오행의 특징사주 음양오행에 대해 근본적이고 기본적인 오행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행의 기운과 특징을 아래 표와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보통 우리가 ‘태양인, 소양인’의 체질적인 모습을 사주 오행과 관련지어 연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팽창 소양(小陽) 목(木) 생명이 뚫고 나오는 첫 기운 태양(太陽) 화(火) 생명이 최대로 분열하여 성장하는 기운 토(土) 수축과 팽창을 중재하여 부드럽고 순조롭게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기운 수축 소음(小陰) 금(金) 생명을 수렴하는 첫기운 태음(太陰) 수(水) 생명이 완전히 수렴된 한 점으로 뭉쳐 저장하는 기운 소양(小陽) 목(木) 봄 東 태양(太陽) 화(火) 여름 南 토(土) 사계절 中 소음(小陰) 금(金) 가을 西 태음(太陰) 수(水) 겨울 北 오행의 갖가지 형상들 木 火 土 金 水 기본형 나무 불 흙 쇠 물 성질 생성 성장,분열 조화, 완성 수렴, 결실 응집, 휴식 하루 아침 한 낮 고루 분포 저녁 한 밤 기후 바람 더위 장마 맑음 추위 인생 소년기 청년기 중년기 장년기 노년기 맛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숫자 3,8 2,7 5,10 4,9 1,6 육부 쓸개 소장,삼초 위 대장 방광 나의 오행에 따라 내 성질과 비교해보면, 다소 부합하는 것들이 많이 있을 듯합니다. 특히, 인생 소년기(목) → 청년기(불) → 중년기(토) → 장년기(금) → 노년기(수)가 성향과 부합합니다. 목으로 태어난 사람들은 아이처럼 활발하고 호기심이 왕성한 성향이 있고, 물로 태어난 사람은 모든 것을 해탈하고 이해하고 만물을 바라보는데 조금 어른스러운 면이 있죠. 이렇게 오행은 단계적으로 변화합니다. 좀더 자세히 단계적인 변화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양기의 시작이고, 수에 뿌리를 박고서 수축되었던 생명이 처음에 한 방향으로 뚫고 나오는 기운을 말합니다. 만물의 탄생이 이루어집니다. 목은 불발하는 기상을 대표적으로 말하는데 이것을 일러 생(生)이라고 합니다. 그 모습을 용출, 분출이라고 말하고, 목기의 성질을 나타냅니다. 날쌔고 용감하게 있는 힘을 다 쓰는 모양이고, 용감하게 뛰쳐나오고, 뿜어져 나오는 그런 뜻입니다. 이것으로 힘이 집중되어 있는 목의 활동 상태를 나타냅니다. 목은 수(水)를 발판으로 하는 것이므로 힘과 욕심이 강합니다. 수란 원래 응고가 심하여 용력을 내부 깊숲이 감추어 있을 뿐이고 뜻을 이루어 내지는 못하나, 그것도 때가 이르면 목기로 변질되면서 그 힘이 활동하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응고를 위주로 하던 수기도 이때가 되면 점점 약화되고, 약기는 어둠 깊은 곳으로부터 탈출하게 되므로, 여기에서 양의 활동은 시작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목기의 활동이며 힘인 것입니다. 수기를 바탕으로 발전하던 목기는 그가 점점 발전하는 동안에 이미 수기로써 조성해 놓았던 튼튼한 형질은 점차 엷어지게 되면서 때가 되면 화기로 화하게 되는 것입니다. 목은 수의 형질이 운동하는 최초 단계 모습입니다. 양의 기운이 왕성한 것이고, 목기를 통해 한 방향으로 뚫고 나온 생명이 사방팔방으로 무질서하게 흩어지며 성장하는 기운입니다. 화기는 분산을 위주로 하는 기운입니다. 목의 형태로 출발한 우주의 변화는 목기가 다하려고 할 때에 기운의 전환을 가져오는 데 그 기운을 화라고 하며, 변화 작용의 제 2단계인 것입니다. 자연계에서 관찰하면 이것은 꽃이 피고 가지가 버려지는 때이므로, 이때는 만화방창한 아름다움은 위세를 최고도로 뽐내는 때이지만 그 내용은 이미 공허하기 시작하는 때이며, 사람으로 치자면 큰소리치는 사람치고 실속 있는 사람 없는 법입니다. 화기가 분열하고 분열하다가 더 이상 분열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하고 정지해 있을 때, 그 정지한 상태의 모습입니다. 우주가 음과 양의 운동을 하는데 이 우주가 영원히 순환 할 수 있게 해주고, 이질적인 음과 양의 기운이 서로 조화되어 돌아가게 해주는 그 조화의 주체가 토입니다. 토가 있기 때문에 이 우주는 영원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토는 우주조화의 본체가 됩니다. 또한 오행의 성질 가운데서, 금과 화는 서로 용납할 수 없는 성질입니다. 그러므로 발전이 끝나게 되어 금이 화를 포장하려고 해도 화의 염열은 금기를 충분히 거부할 능력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어떠한 다른 기운이 중재하지 않으면 금이 화를 도저히 포장할 수가 없습니다. 이를 금화상쟁이라 합니다. 이와 같이 토의 자연성에 의해서 목화의 생장과 금수의 수장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것이 변화의 제 3단계 입니다. 토를 지나서 금으로 가는데, 금은 음기의 시작이고, 한없이 흩어질 수 없는 상태까지 분열된 화를 토의 도움을 받아 거두어 수렴하는 단계입니다. 금과 목은 그 성질이 전혀 반대입니다. 목은 내부에 있떤 양이 표면ㅇ로 용출하려는 발전의 최초 단계이고, 금은 바깥의 양이 다시 안속으로 잠복하려는 수장의 최초의 단계입니다. 만물은 봄에는 양이 표면으로 발산하려고 하여, 밖의 표면이 부드럽고 연하게 되지만, 가을에는 양이 내부에 잠복되어 고요히 잠들려고 하니, 밖의 표면이 점점 딱딱하여져서 양기를 포장할 준비를 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금기는 표면을 딴딴하게 변화시키면서 양을 포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지, 결코 그 속까지 견고하게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금기가 작용할 때에는 양의 성질이 강하다고 보는 것입니다. 음의 기운이 왕성한 것으로, 금을 통해 수렴되면서 외부의 굳어진 것을 그 속까지 단단하게 응고시켜 한 점으로 뭉쳐 저장하는 기운입니다. 수기는 응고하여 형체를 만들고, 형체 안에서 양이 완전 수장되어 정과 핵을 만들어 만물의 생명을 창조합니다. 즉, 수는 통일 된 자리이고, 분열의 기반입니다. 수기는 삼라만상을 창조함과 형제와 정신을 만드는 두 가지 요소를 모두 지니고 있습니다. 이것이 변화의 5단계 입니다. 음양이 분화된 오행이 목화토금수로 변화의 단계를 거치면서, 생성, 성장, 수렴, 저장하는 원리를 음양오행의 운동법칙이라 하며, 우주의 모든 변화가 이 법칙 밖에서는 일어 날 수 가 없습니다. 오행에서 목과 화는 양적인 성질을, 금과 수는 음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토는 양적인 목화와 음적인 금수를 도와서 연결해주는 중재하는 성분으로 음양을 다 가진 중성적인 성분입니다. 그러므로 음양 모두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2019/04/16 – [01. 오행의 속성/- 나무(木)] – [역학기초] 큰 나무, 갑목 사주 특징 2019/04/18 – [01. 오행의 속성/- 불(火)] – [역학기초] 따뜻한 촛불, 정화 사주 특징 2019/04/21 – [01. 오행의 속성/- 금(金)] – [역학기초] 큰 바위, 경금 사주 특징
사상체질과 오행
안녕하세요 아… 요즘 회사 일로 진짜 기운이 하나도 없네요. 혼자서 다량의 역할을 쳐내고 잇는것 같아요 ㅋ 능력적인 부분에서는 좋은 건데 ㅋㅋㅋ 너무 혼자서 할려니 ㅋㅋ 피곤하네요. 그래서 나중에 결국~!!! 돈주고 업체에 맡기는 가봐요 ㅋ 오늘은 사상의학의 창시자 이제마 선생님의 사상체질과 오행 을 연결시켜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木火土金水 이렇게 우선 오행이 필요하겠죵~!!! 그리고 사상체질에는 크게는 음와 양으로 나뉘죠`!! 이 것 부터가 벌써 음과 양의 성질을 체질에 대입시켰다는 의미`!!! 참 신기신기하죠`!!! 그리고 ‘음’ 안에서도~!!! 두가지로 나누어서~!!! 태음과 소음이 되는데요. ‘양’ 또한 두가지로 나누어서~!!! 태양과 태음~!! 으로 나누었다는 사실. 아 지금 제가 이걸 공부를 하지만서도 이걸 알고 연구하며 발견한 ‘이제마’ 선생님은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태양 / 태음 / 소양 / 소음이 무엇을 나타내는지 알아볼까요ㅋㅋㅋ ‘태양’은 ‘양’의 성질 중에서도 가장 강한 태~! 그래서 火 ‘화’를 의미하죠`! 사상체질과 오행 그리고 ‘태음’은 ‘음’의 성질 중에서도 가장 강한 태~!그래서 水 ‘수’를 의미하죠~!! 사상체질과 오행 그리고 ‘소양’은 ‘양’의 성질 중에서도 가장 약한 소~! 그래서 木 ‘목’을 의미하죠`!!! 사상체질과 오행 그리고 ‘소음’은 ‘음’의 성질 중에서도 가장 약한 소~! 그래서 金 ‘금’을 의미하죠`!!! < https://www.pinterest.co.kr/pin/283023157804161556/에서 > 그런데 요즘은 이 태양인과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의 특성 하나만을 가지고 살고 있는 사람들은 극히 적다고 합니다~! 그럼???? 영화도 주인공과 보조배역이 있듯이 두가지가 동시에 있다고 합니다`! 주가 태음이고 보조가 태양이렇게 말이죠`!!! 사실 전 이 구성이 맞다고 봅니다~!왜냐??? 팔자에서도 오행의 구성이 다양하게 이루어져있기 때문이죠`!!! 그래서자신의 본원 일원이 주로 선정되고 나머지 글자의 구성에 따라서 보조의 사상체질이 선정된다고 생각해요 ㅋㅋㅋㅋ생각 ㅋㅋ 제 생각ㅋㅋㅋ [참조] 오행의 신체상 위치
결혼하기 어려운 여자 팔자
칼럼 결혼하기 어려운 여자 팔자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본래 태극(太極)은 맑고 깨끗한 이(理)에서 음양의 탁(濁)한 기(氣)가 생겨났다. 태극에서 음양으로 나눠지고 이 음양에서 다시 태양, 소음, 소양, 태음의 사상(四象)으로 분류된다. 양(陽)이 두 개 모이면 태양(太陽)이며 음(陰)이 두 개 모이면 태음(太陰)이 되고 음(陰)과 양(陽)이 모여서 소음, 소양이 된다. 이 사상으로 한의학에서는 사상체질 즉 태양인, 소음인, 소양인, 태음인으로 분류해서 병을 치료하기도 한다. 조선시대 이제마 선생이 개발한 이 사상체질은 오늘날 과학적으로 인정되어 태음인은 알파가 30%이며 소양인은 알파가 23%라는 연구결과가 있다. 한국인의 체질은 소양인이 약 70%라고 한다. 이 소양인은 다혈질에다 정의감이 많고 상체는 발달한 반면 하체와 콩팥이 약해서 정력에 문제가 있다고 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그래서 보약이라고 하면 남녀 불문하고 무엇이든지 가리지 않고 먹다보니 뱀도 잡아 먹는다. 뱀은 담백질만 많을뿐 정력에는 도움이 안된다고 한다. 달리기, 등산, 축구, 하루 만보 걷기 등 이런 운동이 보약보다 훨씬 좋은 특효약이다. 여자의 명 乙巳 己丑 壬申 辛亥 木火(金) 土土(金) 水金(水) 金水 이 분은 노처녀인데 결혼이 되지 않아 답답해서 필자와 상담을 한 분이다. 여자는 관살(官煞)이 남편이라 정관이 있어야만 결혼이 이뤄진다. 년간(年干)의 상관인 을(乙)과 월간(月干)의 정관인 기(己)는 충(沖)이다. 충(沖)이란 부딪친다는 뜻인데 충(沖)으로 인해 정관은 힘을 잃었다. 게다가 년지(年支)에 있는 편재인 사(巳)는 월지(月支)에 있는 정관인 축(丑)이 사축합(巳丑合)이 되어 정관인 토(土)가 금(金)으로 변하여 사실상 정관(남편)의 기능이 상실되었다. 즉 관살이 없는 무관사주다. 관살(官煞)이 없어도 재(財)가 관(官)을 생해주면 결혼할 수 있지만 이 사주는 그렇지 못하다. 년지(年支)에 있는 편재인 화(火)가 정관인 토(土)와 합이 되어 금(金)으로 변하여 재살(財煞) 또한 상실되었다. 관(官)도 없고 재(財)도 없으니 결혼하기가 어렵다. 한 가지 희망을 걸어 볼 수 있는 곳은 장간(藏干)인데 사신해(巳申亥)에 편관이 있어 이 편관이 충(沖)을 받아 치고 올라오면 결혼이 이뤄지는데 정관인 기(己)가 갑(甲)과 또 다시 합이 되었고 편관인 무(戊) 역시 계(癸)와 합이 되어 오행이 변하여 치고 올라 올 수 없게 되었다. 또한 편관인 무(戊)는 갑(甲)과 충(沖)이 되어 결혼할 수 있는 희망이 없어졌다. 여자의 경우 이런 명국은 수녀가 되거나 아니면 스님(비구니)이 되는데 이 사주는 그것도 아니다. 겨울에 태어난 수(水)는 물이 많은 계절이라 금(金)이 있으니 수(水)가 차가워 좋지 않고 토(土)로 수기(水氣)를 제거하고 화(火)로써 따뜻하게 해 줘야 하는데 화(火)가 없다. 사화(巳火)가 월지(月支) 축토(丑土)와 합이 되어 금(金)으로 변질되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다행한 것은 년간(年干) 을목(乙木)과 월간(月干) 기토(己土)가 합이 되어 화(火)가 조금 있는 셈이다. 또한 토(土)가 있어 많은 수(水)를 막아 제방을 쌓아 주고 있으니 어느 정도 성국된 사주다. 임수(壬水) 생일이 겨울에 태어나고 금수(金水)가 많아 신강하고 매우 차갑다. 통은 크지만 일이 잘 안돼 답답할 것이다. 이 때는 화(火)로 따뜻하게 해줘야 생기가 왕성하고 목(木)으로 목생화(木生火)로 유통시키면 재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년간 목(木)이 용신이다. 격국은 정관격인데 파격(破格)이다. 일지(日支)에 편인이 앉아 있어 결혼운이 나쁘다. 직업은 음식업이 적합하다. 성격은 의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남을 동정하는 마음이 강하고 지모가 출중하고 뜻은 크지만 기회를 잡지 못한다. 일시(日時)에 망신살이 있어 인간관계로 인한 피해나 금전적으로 사기를 당할 일이 생기고 형살(刑煞)이 있어 이 문제로 경찰서에 출두할 일이 생긴다. 대운 庚 辛 壬 癸 甲 乙 丙 丁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42살까지는 대운이 좋지 않고 48살부터 갑오(甲午) 대운은 남방(南方) 화운(火運)으로 흐르고 있어 길운이지만 68살 이후 토금운(土金運)으로 들어 가면 흉운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태음 화 사주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태음인, 소양화 사주, 태음수, 소양인
사상의학(四象醫學)
오늘은 사상의학(四象醫學)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상의학은 지금으로부터 약100년 전 이제마(1837∼1900)가 창안한 것입니다. 이 이론은 당대의 한의학과는 체제를 완전히 달리하는 독창적인 이론입니다. 허준의 <동의보감>이 음양설과 오행설을 근본으로 하는 체계라면, 이제마의 사상론은 음양론에 주를 두고 구성한 체계입니다. 따라서 이 사상의학은 체질 분류도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오행에 따른 사상의 분류와 차이가 있습니다. 즉 오행에서는 화를 태양, 목을 소양, 수를 태음, 금을 소음으로 보는 데, 사상체질에서는 목이 태양인이고, 화가 소양인이며, 금이 태음인이고, 수가 소음인입니다. 그 이유는 설명이 길므로 시간을 내서 따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어쨌든 사상체질은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 4가지로 나눕니다. 이 4가지로 나누는 기준은 개인이 타고날 때부터 폐장, 간장, 비장, 신장의 기능에 차이가 있다고 본 것입니다. 그리고 이 장기의 차이는 인체활동의 생장수렴활동에 차이를 준다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서 체질마다 병의 증세가 다르게 나타난다고 봅니다. 병의 증세가 다르게 나타난다면 치료방법 또한 달라야 한다는 것이 이 이론의 특징입니다.
태양인은 폐대간소, 소양인은 비대신소, 태음인은 폐소간대, 소음인은 비소신대입니다.
인체의 장부에는 각각 담당역할이 주어져 있지요. 폐는 호흡하며 발산하는 기운을 유지하며, 간은 흡수하는 기운을 유지하며, 비장은 열의 기운을 유지하고, 신장은 찬 기운을 유지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체질에 따라서 장부에 차이가 있으므로 유지하는 기운도 차이를 보입니다. 즉 장부의 대소에 따라서 태양인은 호흡하고 발산하는 기운이 과잉할 수 있는 반면에 흡수하는 힘이 약할 수 있으며, 태음인은 발산하는 기운이 약하고 흡수하는 힘이 강할 수 있습니다. 소양이은 몸에 열의 과잉 현상을 보일 수 있으며, 소음인은 몸에 찬 기운이 과잉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사상체질에 따른 분류에 의하면 대체로 다음과 같습니다.
이제마가 저술한 사상의학의 원전이라 할 수 있는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을 보면, 사상의학은 침 치료를 위한 이론이 아닙니다. 그것은 한약처방을 더 정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이론입니다. 그리고 이 이론은 심신(心身)을 다스려 질병을 미연에 방지하는 예방의학의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사상의학에서 가장 기본이이 되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체질을 네 가지로 구분하는 것입니다. 이제마가 제시하는 체질구분 방법은 체형과 용모, 기상 같이 외모로 보는 방법과 성격이나 성질 등을 살피는 내면적 고찰 방법이 있으며, 병의 특이한 증상과 약물 반응을 체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
사상의학을 일반적으로 품수의학, 심신의학, 체질의학이라고 합니다. 품수의학이란, 체질을 선천적으로 타고난다는 관점을 강조한 것이고, 심신의학은 몸과 마음이 동일하게 작용한다고 보는 관점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체질의학이라고 하는 것은 사람의 체질이 크게 사상과 같이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는 데 착안한 점을 강조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사상체질을 구분할 때는 외모와 심성 그리고 병증 3가지를 중요하게 보며 그 외 여러 가지 요소를 참고합니다.
먼저 외모는 체형 또는 골격을 우선 봅니다. 체형을 볼 때는 상체와 하체를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이 체형으로 쉽게 구분되는 사람도 있고, 체형만으로는 구분이 모호한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체형의 경우 영양상태나 질병이나 운동 식습관 등에 의하여 후천적으로 변할 수도 있으므로 이것이 모든 기준이 될 수는 없습니다. 다만 기본적인 체형은 쉽게 바뀌지 않으므로 이 체형 분류법으로 어느 정도는 사상체질 구분이 가능합니다.
심성으로도 사상체질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성격과 성질, 항심과 심욕 그리고 재간 등을 관찰합니다.
병증을 가지고 사상체질을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건강할 때나 질병에 걸렸을 때 체질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지요.
물론 상기 3가지 방법 외에 목소리나 오링테스트 등을 통하여 사상체질을 구분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상기한 방법으로 특이체질을 가진 사람도 있으므로, 모든 사람의 체질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상기한 방법을 활용하면 대체로 사상체질을 구분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습니다.
***
그러면 본격적으로 사상체잘을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얼굴의 형상을 가지고 판단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한편 음성 즉 목소리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목소리로 구분하는 방법은 실제 인물을 표본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더 쉽겠지요.
한편 체형(體形)으로 구분할 수도 있습니다.
체형은 후천적인 영양상태나 운동 여부 등에 따라 변화가 있을 수는 있지만, 어느 정도는 일정한 패턴을 따릅니다. 용모는 이목구비(耳目口鼻)의 형태를 살피는 것이고, 기상(氣象)은 그 사람이 풍기는 분위기를 보는 것입니다.
태양인과 소양인은 상체(上體)가 하체(下體)보다 발달하고, 태음인이나 소음인은 하체가 상체보다 발달한 경우가 많습니다.
태양인은 가슴 윗부분과 어깨가 발달되어 넓고 목덜미가 굵은 대신 허리 아래 부위가 약합니다. 특히 다리가 약해서 서있는 자세가 불안정하고 오래 서있거나 걷기가 힘이 듭니다. 살이 많지 않고 용모는 뚜렷하지만 일 만 명 중 열 명 이내라고 할 만큼 사상인(四象人) 중에서 숫자가 가장 적어 구별이 어렵습니다. 머리가 명석하면서 창의력이 뛰어나고, 남성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기상을 보여줍니다. 상대방을 어려워하거나 꺼려하지 않기 때문에 사교성과 타협성이 부족한 경우가 많고,독선적인 기질이 있어 혁명가적인 성향을 띠지만 치밀한 계획성이 부족합니다. 태양인의 특징은 말랐으면서 특별히 눈빛이 날카로우면서 빛난다는 것입니다.
소양인은 가슴 부위가 충실하고 엉덩이가 역한 체형입니다. 따라서 여자들 중에는 유방이 큰 사람이 많습니다. 매사에 활동적이고 열성적이며 성미가 급합니다. 정의감도 강해서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고 남의 일을 내 일 같이 여깁니다. 인정이 많으며, 이해관계에는 어둡습니다. 따라서 종교인이나 사회활동가들이 많습니다. 번득이는 아이디어가 풍부해서 일을 벌이기는 잘하지만 뒷심이 부족해 마무리가 약하고 싫증을 잘 냅니다. 가끔 피부가 희면서 살찐 사람도 있지만 보통은 마른 편이 많고, 눈이 예리하고 코도 날카로워 보입니다. 숫자도 일 만 명 중에 약 3000명 정도로 많고, 성격도 잘 드러나므로 구분이 쉽습니다.
태음인은 허리 부위가 발달하여 서있는 자세가 굳건해 보이지만 목덜미가 상대적으로 약해 보입니다. 대부분 체격이 장대하고 살이 많아서 듬직해 보입니다. 성격은 침착하고 과묵하여 믿음직하나 가끔씩 급한 면도 드러냅니다. 우직하고 지구력이 있어 일단 맡은 일은 끝까지 해내며 보수적인 면을 띱니다. 음흉한 면과 게으른 면도 있고, 욕심이 많고 현실 안주의 경향도 있습니다. 체형이 뚜렷하고 일 만 명 중에 5000명 정도로 숫자가 많아서 가장 구분이 쉽습니다.
소음인은 하체가 발달하여 상대적으로 엉덩이가 크고 다리가 굵은 경우가 많아서 앉은 자세가 안정되어 보이지만 가슴둘레가 약합니다. 용모가 단정하고 체격이 작은 사람이 많아 얌전해 보이고, 여러 사람들 틈에 섞이면 잘 드러나지 않습니다. 성격이 온순하고 차분하며 싹싹하고 붙임성이 있어 주위에 사람이 끊이질 않습니다. 치밀하고 계획성이 뛰어나지만 소극적이고 여성적인 성격으로 남의 간섭을 싫어하고 이해타산에 밝으며 질투심도 강합니다. 자존심도 강하고 한 번 틀어지면 감정을 오래 가지기 때문에 소심하다는 평을 많이 듣습니다. 자연스럽게 주위와 융화를 잘 하는 사람이고, 전체적으로 마르고 약한 체형이면서 일 만 명 중 2000명 정도가 되기 때문에 구별이 쉽습니다.
사상체질에 따른 분류에 의하면 태양인은 극소수이며, 태음인이 많고, 소양인과 소음인의 수가 엇비슷합니다. 물론 시대에 따라서 그 구성비율도 변합니다.
각 체질마다 자신의 생명을 유지하는 것이 다릅니다. 태양인은 몸안으로 흡수하는 기운을 잘 유지하도록 애쓰야 하며, 태음인은 밖으로 발산하는 기운을 잘 유지해야 하며, 소양인은 열을 내려주는 기운을 잘 유지해야 하며, 소음인은 몸을 다듯하게 해주는 기운을 잘 유지해야 합니다. 이 기준이 건강의 예방과 치료에도 적용되니 잘 기억하셔야 합니다.
다음의 그림은 체질별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생활습관과 식생활 그리고 운동요법에 대한 것입니다.
다음으로는 체질별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사상체질을 구별할 때 몇 가지 유의할 점이 있습니다.
결혼 후나 출산 후에 체중이 변하는 것처럼 살이 찌고 마르는 것은 후천적으로 영양이나 운동, 질병 등으로 영향을 받지만 선천적인 골격은 크게 변하지 않아 골격을 기준으로 체형을 살피는 것이 좋습니다.
성격도 후천적인 교육이나 습관에 의해 본래의 모습이 변할 수 있고, 위급하거나 중요한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되어서야 본연의 성격이 나타나므로 여러 번에 걸쳐 세심하게 관찰하여야 합니다.
한편 병을 살피는 방법으로는 땀의 상태나 대소변의 상태를 주로 봅니다. 다 같이 땀이 나더라도 태음인은 평소에 땀이 많기도 하지만 땀을 흘린 뒤에 몸이 상쾌하고 가벼워지도록 물을 많이 마시기도 합니다. 반면 소음인은 몸이 더 피곤해지고 쳐지면서 물도 그리 많이 마시는 편이 아닙니다. 소양인은 변비가 생겨서 여러 날 대변을 못 보면 가슴 부위가 답답하여 견디지 못하고, 소음인은 여러 날 대변을 보지 못해도 별로 불편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태음인은 하루에 두세 번의 무른 변을 보는 수가 있습니다. 방광염이나 전립선 질환이 없는 건강한 상태에서 하루에 소변을 보는 횟수가 소음인은 3∼4회로 상대적으로 적고, 태음인은 4∼5회로 보통이며, 소양인은 5∼6회로 가장 많습니다. 위가 나빠져서 소화가 되지 않고 체할 때 태양인은 메밀국수를 먹으면 위가 편해지고, 소양인은 보리밥이 좋고, 태음인은 삶은 밤이 도움이 되며, 소음인은 찰밥을 먹으면 편합니다.
이러한 구별 방법이 있지만 인간의 생명 및 건강과 관련이 있는 것이기에, 체질을 구별할 때는 살피고 또 살피며 세심하게 잘 살펴야 합니다. 그러므로 단순하게 소화기가 역하거나 추위를 많이 타면 소양인이고, 뚱뚱하고 땀을 많이 흘리면 태음인이며, 성격이 급하면 소양인, 과격하면 태양인이라는 식으로 단순하게 체질을 구별하는 것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아버지와 어머니의 체질이 달라서 엇비슷한 비율로 두 분의 체질을 섞어서 태어났다면, 구별하기가 더 어렵습니다. 그러다 보니 번거로운 절차는 내던지고 간편하게 오링 테스트나 사상체질 감별 카드 같은 방법들을 동원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런 방법들은 시술자나 피시술자의 선입견이나 편견 등 마음가짐과 숙달 여부에 따라 오차가 많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우리가 오늘 사상의학을 살펴본 이유는 향후 사주의학을 말씀드리기 위함입니다. 사실상 사상의학에서 말하는 체질과 사주의학에서 말하는 체질은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사상의학과 사주의학을 결합하여 개인의 체질을 판단한다면 개인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뿐만 아니라 향후 발생할 질병에 대한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 이제 시간이 허락할 때마다 간략하게나마 사주의학을 소개할까 합니다. 감사합니다.
사주에 나무나 불이 있으면 이걸로 대박날 수 있습니다 ㅣ사주로 보는 내 성공 시나리오
We are using cookies to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You can find out more about which cookies we are using or switch them off in settings.
사주의 기초, 음양 오행(五行)
음양 오행(五行)의 정의
오행이란 한문으로 다섯 五, 나아갈 行 으로서 다섯 방향으로 나아간다는 뜻입니다.
하루 라는 시간이 다섯가지 변화,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을 지나간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다섯가지 변화 중 한가지인 토(土)는 계절적인 성격을 의미하는게 아니고,
계절과 계절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게되는데
간단히 토(土)를 설명하면 크게 봄과 여름이 양을 뜻하고 가을과 겨울이 음을 뜻하는데
음양을 연결해주는 작용을 토(土)가 한다는것 입니다.
목(木)은 소양(小陽)으로 봄에 기운을 말하고, 화(火)는 태양(太陽)으로 여름에 기운을 말합니다.
토(土)는 양과음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며 금(金)은 소음(少陰)으로 가을에 기운을 말하고, 수(水)는 태음(太陰)으로 겨울에 기운을 말 합니다. 하루라는 음양이 사계절이라는 오행(五行)을 지나가는 현상을 설명하는 것 이것이 오행이라고 보면됩니다.
여름(火)과 가을(金)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것으로 이해하면 될것입니다.
목 화 토 금 수 는 한마디로 계절을 대표하는 단어로 선택되어진 것입니다.
오행의 이해
계절의 변화에 따라서 오행이 각각 어떠한 운동성을 보이는지에 대하여 분류하고 오행을 이해 하는데 목,화,토,금,수의 운기와 인간적의 성격을 알아보자면
木 목은 곡직(曲直)이라고 하여 땅속에 뿌리를 단단히 박고 버티고 서 있는 거대한 나무를 의미하며 이러한 속성을 갖는 모든 사물이 여기에 속하며 봄에 음기를 품고 솟아오르는 운동을 목(木)운동이라고 합니다. 목은 섬유,의류,문구,제지,목재,가구,청과,종묘,서적,종이,간판,가구 등 으로 분류 합니다. 목은 소년기를 뜻하고, 하루를 대입해 본다면 아침에 해당하고 해가 뜨는 동쪽을, 색깔로는 녹색,청색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인간적으로는 인자함과 자비로움을 상징하며 정직한 성격이며, 사주에 목이 너무많으면 고집이 세고 질투심이 강하며 인자함이 부족하고 좌절이 많고 사주에 목이 부족하면 마음이 약하고 지나치게 성실하여 인색해지거나 귀가 얇아 남에게 속임을 당하기 쉽습니다. 목은 흔들리지 않는 굳은 절개를 상징하는데 그 기운이 너무 강하면 다른 사람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게 되고 그 기운이 너무 약하면 이리저리 쉽게 흔들리게 됩니다.
火 화를 염상(炎上)이라고 하여 하늘을 향하여 활기있게 타오르는 불길을 의미 하며 뜨겁게 솟아 오르는 속성을 지닌 모든 사물이 여기에 속하고 봄에 새싹들이 여름을 맞이하여 사방으로 확장하고 퍼져 나가고 펼쳐지는 운동이 여름을 대표하는 화(火)운동이라고 합니다. 화는 통신,사진,전자,문화,영상,방송,음악,카메라,반도체,정유,가스,공학,전화 등으로 분류합니다. 화는 여름을 기준으로 삼고 왕성한 활동기인 청년기를 말하며 활동적이고 정열적이며 색깔로는 붉은색으로 해석 하며 시간적으로는 한 낮 남쪽에 해당하고 더위를 상징합니다
인간적으로는 예의가 바르고 단정하며 남을 공경할 줄 알고 늘 자신을 낮추는 겸손함을 갖추고 있지만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에게는 냉정한 태도를 보이는 성격입니다. 사주에 화가 너무 많으면 성격이 급하고 남의 일에 간섭을 잘하며 화려한 것을 좋아하며, 사주에 화가 부족하면 소극적이며 나태하고 겉으로는 강해 보이지만 주관이 약해 다른사람의 말에 휘둘리기 쉽고 정이없으며 냉정한 성격입니다. 화기운이 너무 강하면 화약,폭약과 같아 성격이 급하고 충동적이며 경거망동하기 쉬우며 성격이 장난아닙니다
土 토는 만물을 감싸안는 포근한 어머니의 모습을 의미합니다. 가색(稼穡)이라고 하여 씨앗 뿌릴 가, 수확할 색을 말하며 씨앗을 뿌리고 농작물을 거두어 들이는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기르고 수납하는 속성을 지닌 모든 사물이 여기에 속하며 봄과 여름에 발산하고 팽창하려는 운동을 멈추고 이제 가을과 겨울의 수렴운동으로서 전환전을 만드는게 토(土)운동 입니다. 토는 건축,설비,부동산,공예,창고,숙박,기와,도자기,축산,화물,농사 등으로 분류 합니다. 토는 양과음의 운동을 연결해주는 역할로서 화(火)와 비슷한 운동성을 보이고 이제 서서히 가을의 결실을 준비하는 단계라고 보면됩니다. 방위로는 중앙으로 계절로는 환절기라고 보면됩니다.
인간적으로는 성실하면서 책임감이 강하고 인자함과 자비로움을 갖춘 너그러움이 있는성격입니다. 사주에 토가 너무 많으면 논리성이 부족하고 비밀이 많으며 자만심이 강한편이고 행동이 느리고 (여유롭다고 보는게 맞는것같군요) 노는걸좋아하고 노력을 안합니다, 토가 부족한 경우는 자기 고집만 내세우려 하고 신용이 없습니다.
金 금은 자신이 자리를 잡고 있는 장소에서 전혀 흐트러짐이 없이 냉정한 모습으로 사물을 바라보는 굳건한 바위를 의미합니다. 종혁(從革)이라고 하여 순종과 변경을 의미하며 변혁과 하강의 특징을 가진 모든 사물이 여기에 속하며 가을 맞이하여 모든 성장을 멈추고 잎이 마르고 열매를 맺어 아래로 떨어 뜨리는 현상으로 수렴운동의 전 단계인 하강 운동을 가을을 대표하는 금(金)운동이라고 하며, 금,은,광산업,철물,배터리,금융,공업,체육,총 등으로 분류 합니다.
금을 이해하고 분석하는데는 가을을 기준으로 삼는것이 마땅하며 금은 인생기에서 장년기를 말하며 결실, 냉정, 색깔로는 흰색, 금은 하루에 시간을 대입하여 보면 저녁에 해당하고 해가 지는 서쪽을 의미합니다.
인간적으로는 용감하면서 선배를 받들고 후배를 이끌어줄 수 있는 리더십을 갖춘 성격입니다. 사주에 금이 너무 많으면 말이 가볍고 신용이 없으며 권력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고, 살벌하고 험악합니다. 사주에 금이 부족하면 결단력과 판단역이 부족해 우유부단하고 의리가 없습니다.
水 수는 윤하(潤下)라고 하여 습하고 아래로 흐른다는 의미로 습하고 아래로 흐른다는 속성을 가진 모든 사물이 여기에 속하며 겨울은 모든 기운을 씨앗으로 저장을 하고 수렴하는 현상으로 외부적인 움직임이 없는 휴식상태가 겨울을 대표하는 수(水)운동입니다. 수는 겨울이라는 계절을 문자화 한것이고 수(水)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는 겨울로 삼는것이 마땅하며, 겨울을 맞이한 대자연은 모든 생명체를 수렴하고 동면에 들어갑니다. 수는 인생에서 노년기를 말하며 수집, 교육으로 해석하고, 겨울은 모든 기운을 땅속으로 수렴하고 움직임 없이 할 수 있는 행위가 공부이므로 학문과 교육으로 해석합니다. 하루중 밤에 해당하며 색깔로는 흑생으로 방위는 북쪽을 의미 합니다 수를 지혜로 해석하는 것은 밤이나, 겨울에 할 수 있는 일은 움직임 없이 연구하고 집중 할 수 있는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학문이나 지혜를 뜻한다고 합니다 水는 유흥,여행,유통,주류,수산,속옷,냉동,생선,화장실 등 으로 분류합니다.
인간적으로는 지혜가 뛰어나고 학문과 예술을 좋아하며 시시비비를 가리기 좋아하는 성격입니다
사주에 수기운이 너무 많을 경우엔 머리는 좋지만 고집이세서 독단적인 행동때문에 손해를 보는 경우가 많고 다혈질이여서 한번 화나면 걷잡을수없어집니다. 수가 부족할경우 오만하고 냉정하여 일을 그르치기 쉽다고 합니다.
오행의 상생 상극
오행은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金生水, 水生木, 木生火 의 상생을 합니다. 오행이 순환하여 운행하여 시간이 멈추지 않고 흐르는 것이며, 사주상으로도 오행이 순환을 잘해야 인생이 순탄하다고합니다. 상생이 있으면 상극이 있는 법으로
木剋土, 土剋水, 水剋火, 火剋金, 金剋木 으로 극(剋)이란 생(生) 을 절제하여 그치게 함이니 만물을 수렴하고 발설하는 기틀이 됩니다.
다음 포스팅에선 오행의 상생 상극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결혼하기 어려운 여자 팔자
칼럼
결혼하기 어려운 여자 팔자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본래 태극(太極)은 맑고 깨끗한 이(理)에서 음양의 탁(濁)한 기(氣)가 생겨났다. 태극에서 음양으로 나눠지고 이 음양에서 다시 태양, 소음, 소양, 태음의 사상(四象)으로 분류된다. 양(陽)이 두 개 모이면 태양(太陽)이며 음(陰)이 두 개 모이면 태음(太陰)이 되고 음(陰)과 양(陽)이 모여서 소음, 소양이 된다. 이 사상으로 한의학에서는 사상체질 즉 태양인, 소음인, 소양인, 태음인으로 분류해서 병을 치료하기도 한다. 조선시대 이제마 선생이 개발한 이 사상체질은 오늘날 과학적으로 인정되어 태음인은 알파가 30%이며 소양인은 알파가 23%라는 연구결과가 있다. 한국인의 체질은 소양인이 약 70%라고 한다. 이 소양인은 다혈질에다 정의감이 많고 상체는 발달한 반면 하체와 콩팥이 약해서 정력에 문제가 있다고 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그래서 보약이라고 하면 남녀 불문하고 무엇이든지 가리지 않고 먹다보니 뱀도 잡아 먹는다. 뱀은 담백질만 많을뿐 정력에는 도움이 안된다고 한다. 달리기, 등산, 축구, 하루 만보 걷기 등 이런 운동이 보약보다 훨씬 좋은 특효약이다.
여자의 명
乙巳 己丑 壬申 辛亥
木火(金) 土土(金) 水金(水) 金水
이 분은 노처녀인데 결혼이 되지 않아 답답해서 필자와 상담을 한 분이다. 여자는 관살(官煞)이 남편이라 정관이 있어야만 결혼이 이뤄진다. 년간(年干)의 상관인 을(乙)과 월간(月干)의 정관인 기(己)는 충(沖)이다. 충(沖)이란 부딪친다는 뜻인데 충(沖)으로 인해 정관은 힘을 잃었다. 게다가 년지(年支)에 있는 편재인 사(巳)는 월지(月支)에 있는 정관인 축(丑)이 사축합(巳丑合)이 되어 정관인 토(土)가 금(金)으로 변하여 사실상 정관(남편)의 기능이 상실되었다. 즉 관살이 없는 무관사주다. 관살(官煞)이 없어도 재(財)가 관(官)을 생해주면 결혼할 수 있지만 이 사주는 그렇지 못하다.
년지(年支)에 있는 편재인 화(火)가 정관인 토(土)와 합이 되어 금(金)으로 변하여 재살(財煞) 또한 상실되었다. 관(官)도 없고 재(財)도 없으니 결혼하기가 어렵다. 한 가지 희망을 걸어 볼 수 있는 곳은 장간(藏干)인데 사신해(巳申亥)에 편관이 있어 이 편관이 충(沖)을 받아 치고 올라오면 결혼이 이뤄지는데 정관인 기(己)가 갑(甲)과 또 다시 합이 되었고 편관인 무(戊) 역시 계(癸)와 합이 되어 오행이 변하여 치고 올라 올 수 없게 되었다. 또한 편관인 무(戊)는 갑(甲)과 충(沖)이 되어 결혼할 수 있는 희망이 없어졌다. 여자의 경우 이런 명국은 수녀가 되거나 아니면 스님(비구니)이 되는데 이 사주는 그것도 아니다.
겨울에 태어난 수(水)는 물이 많은 계절이라 금(金)이 있으니 수(水)가 차가워 좋지 않고 토(土)로 수기(水氣)를 제거하고 화(火)로써 따뜻하게 해 줘야 하는데 화(火)가 없다. 사화(巳火)가 월지(月支) 축토(丑土)와 합이 되어 금(金)으로 변질되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다행한 것은 년간(年干) 을목(乙木)과 월간(月干) 기토(己土)가 합이 되어 화(火)가 조금 있는 셈이다. 또한 토(土)가 있어 많은 수(水)를 막아 제방을 쌓아 주고 있으니 어느 정도 성국된 사주다. 임수(壬水) 생일이 겨울에 태어나고 금수(金水)가 많아 신강하고 매우 차갑다. 통은 크지만 일이 잘 안돼 답답할 것이다.
이 때는 화(火)로 따뜻하게 해줘야 생기가 왕성하고 목(木)으로 목생화(木生火)로 유통시키면 재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년간 목(木)이 용신이다. 격국은 정관격인데 파격(破格)이다. 일지(日支)에 편인이 앉아 있어 결혼운이 나쁘다. 직업은 음식업이 적합하다. 성격은 의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남을 동정하는 마음이 강하고 지모가 출중하고 뜻은 크지만 기회를 잡지 못한다. 일시(日時)에 망신살이 있어 인간관계로 인한 피해나 금전적으로 사기를 당할 일이 생기고 형살(刑煞)이 있어 이 문제로 경찰서에 출두할 일이 생긴다.
대운 庚 辛 壬 癸 甲 乙 丙 丁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42살까지는 대운이 좋지 않고 48살부터 갑오(甲午) 대운은 남방(南方) 화운(火運)으로 흐르고 있어 길운이지만 68살 이후 토금운(土金運)으로 들어 가면 흉운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
사주공부 음양오행 목의 기운과 성질에 관하여
반응형
오행은 무엇인가.
오행은 목, 화, 토, 금, 수를 말한다. 사주추명학은 열가지의 천간과 열 두가지의 지지를 음과 양 및 오행으로 분류하여 그 상호관계에 의해 사람의 운명을 예지하는 것이다.
고로 사주추명학의 사상적 기초는 오행에 있는 거다.
동양의 전통적 사상은 우주만상이 오행에 의하여 이루어졌다고 믿어 왔으며 세상 모든 것이 이 오행의 작용이라고 여겨왔다.
일반적으로 오행은 역경에 유래한 것이라고 믿으며 화는 역경에서 말하는 태양에서, 목은 소양에서, 수는 태음에서 금은 소음에서 유래하고 토는 이 모든 것을 포함한 것이라 한다.
오행만 제대로 잘 알고 있어도 사주 팔자에 대한 어느 정도 흐름을 간파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중요하다.
사주추명학이 시사하는 바 중의 하나로는 인간이 만물의 우위에 있다고 보는 것이 아닌
자연의 일부이자 산물로서 세상, 우주와 조화를 이루어 사는 것을 이상적으로 꼽는게 아닐까 한다. 그러니 자연 앞에서 겸손해 질 수밖에 없고 자연의 이치를 깨닫는다면 어떤 난관도 현명하게 극복하며 대처할 수 있지 않을까.
이제부터 스스로를 자연의 일부라고 여기고 그에 대한 적응 방법과 성향 파악에 주력해 보심이 어떨지..
오행의 개념
한동수 저자의 우주변화의 원리를 참고하자면
오행이란 개념은 태극이라고 불리는 통일체가 태경, 태초, 태시, 태소의 네 단계를 거쳐서 태극으로 발전되었고 그럼으로써 다시 음과 양이라는 두 가지 기운이 갈라지게 되었는데 그 음양은 또다시 각각 분합작용을 일으킴으로써 다섯 개의 새로운 성질이 발생하게 되었으니 이것을 오행이라고 하는 것이다.
모든 공간에 있는 것 중 어느 하나 오행의 기가 아닌 것은 없다. 그러니까 모든 변화의 원리 및 인간을 구성하거나 형성하는 것도, 모든 것이 생성되는 것은 오행의 작용에 의해서라는 것이다.
목의 성질과 기운
십간과 십이지 중 천간은 갑(甲)과 을(乙) 지지는 인(寅)과 묘(卯)가 해당한다.
갑목과 인목은 양의 성질, 을목과 묘목은 음의 성질을 띤다.
목의 기운은 분발하는 의기를 대표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生이다. 그러니까 모든 생하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목의 기운을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은 힘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물론 구성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 목의 기운은 대체로 활발한 혹은 왕성한 생명력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생명력의 근원은 영어의 spring처럼 왕성한 반발력에 기인하는 것이다. 끊임없는 모순과 대립의 과정 속에서 진정한 생명이 탄생한다고 해석된다. 때문에 목의 기운은 가장 많은 억압을 받기에 그 힘이 가장 강한 것이다.
갑인일주 류승범, 을묘일주 한고은
한국은 목의 기운이 강한 나라다. 시련과 억압도 많이 받아 왔지만 언젠가는 빛을 발하고 강인한 정신으로 무장하며 강성한 모습을 보이는 것을 보면 목의 기운에 근거한 까닭이라고 본다. 이러한 목의 기운을 살려주는 것이 수(水)의 기운이다.
수생목이란 말이 그 의미다. 물을 주어야 생물이 잘 자라듯 목의 기운을 살려주는 것은 물!!!!! 그리고 목은 화를 살려주어 목생화가 되는 것.
나무가 불에 타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 목의 기운이 발하는 시기를 봄이라고 하며 방위는 동방이다.
사주를 보면 동쪽으로 가면 좋다고 하는 까닭은 목의 기운이 도움이 되거나 필요하기에 하는 말이다.
목의 기운이 발동하는 시기는 소년기에 해당한다. 인간이 자신의 결과라고 해야하나, 성과나 결실이라고 해야하나 아무튼 그러한 지엽을 내기 전 처녀, 총각의 시절이 바로 인간의 봄이란 거다.
이 때는 힘도 세고 의욕도 가장 왕성할 뿐만아니라 앞에 올 청년기(분열기이면서 화기에 해당)를 준비하는 시기니 바로 수기 발전의 제1단계이다.
목은 철도처럼 규칙적으로 질서정연하게 뻗어나가는 형태를 의미하는 평기를 뜻하기도 한다. 생장하는 의미로 받아들이면 되고 끊임없이 성장하는 것이 특징 중 하나다. 다만 성장이 위로 솟느냐 옆으로 퍼지느냐에 따라 잘 판단해야 한다.
또한, 목의 기운은 힘은 있지만 아직 그 시기 상조하여 역량을 발휘할 수 없거나 어떠한 외적 장해때문에 힘을 발휘 할 수가 없을 때도 통칭한다. 이것을 한동수의 우주변화의 원리에서는 위화(委和)라고 하였는데 어떤 억압 때문에 기를 펴고 싶어도 제때에 펴지 못한다는…뭐 그렇게 이해된다.
을목일주 정치인
물처럼 깊거나 넓게 흐르거나 화처럼 분산되는 성질이 아닌 땅에 뿌리를 박고 성장의 한계를 지니기 때문에 그런 것을 뜻한 거는 아닌지는 모르겠으나 목의 성질이 가장 생생하고 삶의 원동력 같은 요소를 지니나 희생과 한계가 따른다는 뭐…. 그런 식….대체로 목의 기운이 많은 사주는 푸릇푸릇, 왕성한 기질과 더불어 다소 딱딱하고 고지식한 부분도 없지 않다. 어디로 튈지 모르는 구석을 갖는 것보다는 정도를 갖는 경우가 많다. 밑도 끝도 없이 일도 잘 벌린다.
한동수의 우주변화의 원리로 돌아가서
목이 나무가 되는 과정은 목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보면 금에 의해서 이루어진다고 한다. 다시 말해 축(丑)토를 바탕으로 하고 인(寅)묘(卯)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시작해
목은 인체로 보면 간에 해당하고 간은 금화 된다는 것..
갑진일주 연예인
사주추명학에서 목의 기운은 소음이라 하였다. 한동수는 소음인은 신대 비소하다고 하였다. 콩팥이 크고 비장은 작다는 의미이다.
소음인이 두뇌가 명석하며 똑똑한 것은 신장의 기능이 발달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성품이 유화한 것은 물이 처음으로 생겨나서이다.
반면 도량이 좁고 감정에 흐르기 쉬운 결점도 있으니 이는 신장의 기능이 원만하지 않아서 라고 한다. 따라서항상 소화불량의 경향을 수반할 수도 있다고 한다.
Top 18 태음 화 사주 16460 Votes This Answer
사주에 나무나 불이 있으면 이걸로 대박날 수 있습니다 ㅣ사주로 보는 내 성공 시나리오
사주에 나무나 불이 있으면 이걸로 대박날 수 있습니다 ㅣ사주로 보는 내 성공 시나리오
티스토리 뷰
티스토리툴바
Read More
태그
관련글
댓글2
공지사항
최근글
인기글
최근댓글
태그
티스토리툴바
Read More
카테고리 이동
한울역학연구소
이 블로그
사주의학
카테고리 글
카테고리
이 블로그
사주의학
카테고리 글
Read More
권우상 칼럼 – 결혼하기 어려운 여자 팔자
포토이슈
금주의 HOT 클릭
기업탐방
뉴스와 인물
【손중호 대한산악연맹 회장 – 임인년 신년사】
【백선기 칠곡군수 – 임인년 신년사】
【윤재호 구미상공회의소 회장 – 임인년 신년사】
【장세용 구미시장 – 임인년 신년사】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 임인년 신년사】
Read More
Read More
Read More
What happened
What can I do
Read More
티스토리 뷰
티스토리툴바
Read More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toplist.xosotanphat.com/blog.
[역학기초] 2. 사주 오행의 특징사주 음양오행에 대해 근본적이고 기본적인 오행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행의 기운과 특징을 아래 표와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보통 우리가 ‘태양인, 소양인’의 체질적인 모습을 사주 오행과 관련지어 연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팽창 소양(小陽) 목(木) 생명이 뚫고 나오는 첫 기운 태양(太陽) 화(火) 생명이 최대로 분열하여 성장하는 기운 토(土) 수축과 팽창을 중재하여 부드럽고 순조롭게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기운 수축 소음(小陰) 금(金) 생명을 수렴하는 첫기운 태음(太陰) 수(水) 생명이 완전히 수렴된 한 점으로 뭉쳐 저장하는 기운 소양(小陽) 목(木) 봄 東 태양(太陽) 화(火) 여름 南 토(土) 사계절 中 소음(小陰) 금(金) 가을 西 태음(太陰) 수(水) 겨울 北 오행의 갖가지 형상들 木 火 土 金 水 기본형 나무 불 흙 쇠 물 성질 생성 성장,분열 조화, 완성 수렴, 결실 응집, 휴식 하루 아침 한 낮 고루 분포 저녁 한 밤 기후 바람 더위 장마 맑음 추위 인생 소년기 청년기 중년기 장년기 노년기 맛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숫자 3,8 2,7 5,10 4,9 1,6 육부 쓸개 소장,삼초 위 대장 방광 나의 오행에 따라 내 성질과 비교해보면, 다소 부합하는 것들이 많이 있을 듯합니다. 특히, 인생 소년기(목) → 청년기(불) → 중년기(토) → 장년기(금) → 노년기(수)가 성향과 부합합니다. 목으로 태어난 사람들은 아이처럼 활발하고 호기심이 왕성한 성향이 있고, 물로 태어난 사람은 모든 것을 해탈하고 이해하고 만물을 바라보는데 조금 어른스러운 면이 있죠. 이렇게 오행은 단계적으로 변화합니다. 좀더 자세히 단계적인 변화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양기의 시작이고, 수에 뿌리를 박고서 수축되었던 생명이 처음에 한 방향으로 뚫고 나오는 기운을 말합니다. 만물의 탄생이 이루어집니다. 목은 불발하는 기상을 대표적으로 말하는데 이것을 일러 생(生)이라고 합니다. 그 모습을 용출, 분출이라고 말하고, 목기의 성질을 나타냅니다. 날쌔고 용감하게 있는 힘을 다 쓰는 모양이고, 용감하게 뛰쳐나오고, 뿜어져 나오는 그런 뜻입니다. 이것으로 힘이 집중되어 있는 목의 활동 상태를 나타냅니다. 목은 수(水)를 발판으로 하는 것이므로 힘과 욕심이 강합니다. 수란 원래 응고가 심하여 용력을 내부 깊숲이 감추어 있을 뿐이고 뜻을 이루어 내지는 못하나, 그것도 때가 이르면 목기로 변질되면서 그 힘이 활동하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응고를 위주로 하던 수기도 이때가 되면 점점 약화되고, 약기는 어둠 깊은 곳으로부터 탈출하게 되므로, 여기에서 양의 활동은 시작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목기의 활동이며 힘인 것입니다. 수기를 바탕으로 발전하던 목기는 그가 점점 발전하는 동안에 이미 수기로써 조성해 놓았던 튼튼한 형질은 점차 엷어지게 되면서 때가 되면 화기로 화하게 되는 것입니다. 목은 수의 형질이 운동하는 최초 단계 모습입니다. 양의 기운이 왕성한 것이고, 목기를 통해 한 방향으로 뚫고 나온 생명이 사방팔방으로 무질서하게 흩어지며 성장하는 기운입니다. 화기는 분산을 위주로 하는 기운입니다. 목의 형태로 출발한 우주의 변화는 목기가 다하려고 할 때에 기운의 전환을 가져오는 데 그 기운을 화라고 하며, 변화 작용의 제 2단계인 것입니다. 자연계에서 관찰하면 이것은 꽃이 피고 가지가 버려지는 때이므로, 이때는 만화방창한 아름다움은 위세를 최고도로 뽐내는 때이지만 그 내용은 이미 공허하기 시작하는 때이며, 사람으로 치자면 큰소리치는 사람치고 실속 있는 사람 없는 법입니다. 화기가 분열하고 분열하다가 더 이상 분열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하고 정지해 있을 때, 그 정지한 상태의 모습입니다. 우주가 음과 양의 운동을 하는데 이 우주가 영원히 순환 할 수 있게 해주고, 이질적인 음과 양의 기운이 서로 조화되어 돌아가게 해주는 그 조화의 주체가 토입니다. 토가 있기 때문에 이 우주는 영원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토는 우주조화의 본체가 됩니다. 또한 오행의 성질 가운데서, 금과 화는 서로 용납할 수 없는 성질입니다. 그러므로 발전이 끝나게 되어 금이 화를 포장하려고 해도 화의 염열은 금기를 충분히 거부할 능력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어떠한 다른 기운이 중재하지 않으면 금이 화를 도저히 포장할 수가 없습니다. 이를 금화상쟁이라 합니다. 이와 같이 토의 자연성에 의해서 목화의 생장과 금수의 수장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것이 변화의 제 3단계 입니다. 토를 지나서 금으로 가는데, 금은 음기의 시작이고, 한없이 흩어질 수 없는 상태까지 분열된 화를 토의 도움을 받아 거두어 수렴하는 단계입니다. 금과 목은 그 성질이 전혀 반대입니다. 목은 내부에 있떤 양이 표면ㅇ로 용출하려는 발전의 최초 단계이고, 금은 바깥의 양이 다시 안속으로 잠복하려는 수장의 최초의 단계입니다. 만물은 봄에는 양이 표면으로 발산하려고 하여, 밖의 표면이 부드럽고 연하게 되지만, 가을에는 양이 내부에 잠복되어 고요히 잠들려고 하니, 밖의 표면이 점점 딱딱하여져서 양기를 포장할 준비를 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금기는 표면을 딴딴하게 변화시키면서 양을 포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지, 결코 그 속까지 견고하게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금기가 작용할 때에는 양의 성질이 강하다고 보는 것입니다. 음의 기운이 왕성한 것으로, 금을 통해 수렴되면서 외부의 굳어진 것을 그 속까지 단단하게 응고시켜 한 점으로 뭉쳐 저장하는 기운입니다. 수기는 응고하여 형체를 만들고, 형체 안에서 양이 완전 수장되어 정과 핵을 만들어 만물의 생명을 창조합니다. 즉, 수는 통일 된 자리이고, 분열의 기반입니다. 수기는 삼라만상을 창조함과 형제와 정신을 만드는 두 가지 요소를 모두 지니고 있습니다. 이것이 변화의 5단계 입니다. 음양이 분화된 오행이 목화토금수로 변화의 단계를 거치면서, 생성, 성장, 수렴, 저장하는 원리를 음양오행의 운동법칙이라 하며, 우주의 모든 변화가 이 법칙 밖에서는 일어 날 수 가 없습니다. 오행에서 목과 화는 양적인 성질을, 금과 수는 음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토는 양적인 목화와 음적인 금수를 도와서 연결해주는 중재하는 성분으로 음양을 다 가진 중성적인 성분입니다. 그러므로 음양 모두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2019/04/16 – [01. 오행의 속성/- 나무(木)] – [역학기초] 큰 나무, 갑목 사주 특징 2019/04/18 – [01. 오행의 속성/- 불(火)] – [역학기초] 따뜻한 촛불, 정화 사주 특징 2019/04/21 – [01. 오행의 속성/- 금(金)] – [역학기초] 큰 바위, 경금 사주 특징
사상체질과 오행
안녕하세요 아… 요즘 회사 일로 진짜 기운이 하나도 없네요. 혼자서 다량의 역할을 쳐내고 잇는것 같아요 ㅋ 능력적인 부분에서는 좋은 건데 ㅋㅋㅋ 너무 혼자서 할려니 ㅋㅋ 피곤하네요. 그래서 나중에 결국~!!! 돈주고 업체에 맡기는 가봐요 ㅋ 오늘은 사상의학의 창시자 이제마 선생님의 사상체질과 오행 을 연결시켜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木火土金水 이렇게 우선 오행이 필요하겠죵~!!! 그리고 사상체질에는 크게는 음와 양으로 나뉘죠`!! 이 것 부터가 벌써 음과 양의 성질을 체질에 대입시켰다는 의미`!!! 참 신기신기하죠`!!! 그리고 ‘음’ 안에서도~!!! 두가지로 나누어서~!!! 태음과 소음이 되는데요. ‘양’ 또한 두가지로 나누어서~!!! 태양과 태음~!! 으로 나누었다는 사실. 아 지금 제가 이걸 공부를 하지만서도 이걸 알고 연구하며 발견한 ‘이제마’ 선생님은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태양 / 태음 / 소양 / 소음이 무엇을 나타내는지 알아볼까요ㅋㅋㅋ ‘태양’은 ‘양’의 성질 중에서도 가장 강한 태~! 그래서 火 ‘화’를 의미하죠`! 사상체질과 오행 그리고 ‘태음’은 ‘음’의 성질 중에서도 가장 강한 태~!그래서 水 ‘수’를 의미하죠~!! 사상체질과 오행 그리고 ‘소양’은 ‘양’의 성질 중에서도 가장 약한 소~! 그래서 木 ‘목’을 의미하죠`!!! 사상체질과 오행 그리고 ‘소음’은 ‘음’의 성질 중에서도 가장 약한 소~! 그래서 金 ‘금’을 의미하죠`!!! < https://www.pinterest.co.kr/pin/283023157804161556/에서 > 그런데 요즘은 이 태양인과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의 특성 하나만을 가지고 살고 있는 사람들은 극히 적다고 합니다~! 그럼???? 영화도 주인공과 보조배역이 있듯이 두가지가 동시에 있다고 합니다`! 주가 태음이고 보조가 태양이렇게 말이죠`!!! 사실 전 이 구성이 맞다고 봅니다~!왜냐??? 팔자에서도 오행의 구성이 다양하게 이루어져있기 때문이죠`!!! 그래서자신의 본원 일원이 주로 선정되고 나머지 글자의 구성에 따라서 보조의 사상체질이 선정된다고 생각해요 ㅋㅋㅋㅋ생각 ㅋㅋ 제 생각ㅋㅋㅋ [참조] 오행의 신체상 위치
사상의학(四象醫學)
오늘은 사상의학(四象醫學)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상의학은 지금으로부터 약100년 전 이제마(1837∼1900)가 창안한 것입니다. 이 이론은 당대의 한의학과는 체제를 완전히 달리하는 독창적인 이론입니다. 허준의 이 음양설과 오행설을 근본으로 하는 체계라면, 이제마의 사상론은 음양론에 주를 두고 구성한 체계입니다. 따라서 이 사상의학은 체질 분류도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오행에 따른 사상의 분류와 차이가 있습니다. 즉 오행에서는 화를 태양, 목을 소양, 수를 태음, 금을 소음으로 보는 데, 사상체질에서는 목이 태양인이고, 화가 소양인이며, 금이 태음인이고, 수가 소음인입니다. 그 이유는 설명이 길므로 시간을 내서 따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어쨌든 사상체질은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 4가지로 나눕니다. 이 4가지로 나누는 기준은 개인이 타고날 때부터 폐장, 간장, 비장, 신장의 기능에 차이가 있다고 본 것입니다. 그리고 이 장기의 차이는 인체활동의 생장수렴활동에 차이를 준다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서 체질마다 병의 증세가 다르게 나타난다고 봅니다. 병의 증세가 다르게 나타난다면 치료방법 또한 달라야 한다는 것이 이 이론의 특징입니다. 태양인은 폐대간소, 소양인은 비대신소, 태음인은 폐소간대, 소음인은 비소신대입니다. 인체의 장부에는 각각 담당역할이 주어져 있지요. 폐는 호흡하며 발산하는 기운을 유지하며, 간은 흡수하는 기운을 유지하며, 비장은 열의 기운을 유지하고, 신장은 찬 기운을 유지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체질에 따라서 장부에 차이가 있으므로 유지하는 기운도 차이를 보입니다. 즉 장부의 대소에 따라서 태양인은 호흡하고 발산하는 기운이 과잉할 수 있는 반면에 흡수하는 힘이 약할 수 있으며, 태음인은 발산하는 기운이 약하고 흡수하는 힘이 강할 수 있습니다. 소양이은 몸에 열의 과잉 현상을 보일 수 있으며, 소음인은 몸에 찬 기운이 과잉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사상체질에 따른 분류에 의하면 대체로 다음과 같습니다. 이제마가 저술한 사상의학의 원전이라 할 수 있는 을 보면, 사상의학은 침 치료를 위한 이론이 아닙니다. 그것은 한약처방을 더 정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이론입니다. 그리고 이 이론은 심신(心身)을 다스려 질병을 미연에 방지하는 예방의학의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사상의학에서 가장 기본이이 되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체질을 네 가지로 구분하는 것입니다. 이제마가 제시하는 체질구분 방법은 체형과 용모, 기상 같이 외모로 보는 방법과 성격이나 성질 등을 살피는 내면적 고찰 방법이 있으며, 병의 특이한 증상과 약물 반응을 체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 사상의학을 일반적으로 품수의학, 심신의학, 체질의학이라고 합니다. 품수의학이란, 체질을 선천적으로 타고난다는 관점을 강조한 것이고, 심신의학은 몸과 마음이 동일하게 작용한다고 보는 관점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체질의학이라고 하는 것은 사람의 체질이 크게 사상과 같이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는 데 착안한 점을 강조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사상체질을 구분할 때는 외모와 심성 그리고 병증 3가지를 중요하게 보며 그 외 여러 가지 요소를 참고합니다. 먼저 외모는 체형 또는 골격을 우선 봅니다. 체형을 볼 때는 상체와 하체를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이 체형으로 쉽게 구분되는 사람도 있고, 체형만으로는 구분이 모호한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체형의 경우 영양상태나 질병이나 운동 식습관 등에 의하여 후천적으로 변할 수도 있으므로 이것이 모든 기준이 될 수는 없습니다. 다만 기본적인 체형은 쉽게 바뀌지 않으므로 이 체형 분류법으로 어느 정도는 사상체질 구분이 가능합니다. 심성으로도 사상체질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성격과 성질, 항심과 심욕 그리고 재간 등을 관찰합니다. 병증을 가지고 사상체질을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건강할 때나 질병에 걸렸을 때 체질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지요. 물론 상기 3가지 방법 외에 목소리나 오링테스트 등을 통하여 사상체질을 구분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상기한 방법으로 특이체질을 가진 사람도 있으므로, 모든 사람의 체질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상기한 방법을 활용하면 대체로 사상체질을 구분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습니다. *** 그러면 본격적으로 사상체잘을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얼굴의 형상을 가지고 판단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한편 음성 즉 목소리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목소리로 구분하는 방법은 실제 인물을 표본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더 쉽겠지요. 한편 체형(體形)으로 구분할 수도 있습니다. 체형은 후천적인 영양상태나 운동 여부 등에 따라 변화가 있을 수는 있지만, 어느 정도는 일정한 패턴을 따릅니다. 용모는 이목구비(耳目口鼻)의 형태를 살피는 것이고, 기상(氣象)은 그 사람이 풍기는 분위기를 보는 것입니다. 태양인과 소양인은 상체(上體)가 하체(下體)보다 발달하고, 태음인이나 소음인은 하체가 상체보다 발달한 경우가 많습니다. 태양인은 가슴 윗부분과 어깨가 발달되어 넓고 목덜미가 굵은 대신 허리 아래 부위가 약합니다. 특히 다리가 약해서 서있는 자세가 불안정하고 오래 서있거나 걷기가 힘이 듭니다. 살이 많지 않고 용모는 뚜렷하지만 일 만 명 중 열 명 이내라고 할 만큼 사상인(四象人) 중에서 숫자가 가장 적어 구별이 어렵습니다. 머리가 명석하면서 창의력이 뛰어나고, 남성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기상을 보여줍니다. 상대방을 어려워하거나 꺼려하지 않기 때문에 사교성과 타협성이 부족한 경우가 많고,독선적인 기질이 있어 혁명가적인 성향을 띠지만 치밀한 계획성이 부족합니다. 태양인의 특징은 말랐으면서 특별히 눈빛이 날카로우면서 빛난다는 것입니다. 소양인은 가슴 부위가 충실하고 엉덩이가 역한 체형입니다. 따라서 여자들 중에는 유방이 큰 사람이 많습니다. 매사에 활동적이고 열성적이며 성미가 급합니다. 정의감도 강해서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고 남의 일을 내 일 같이 여깁니다. 인정이 많으며, 이해관계에는 어둡습니다. 따라서 종교인이나 사회활동가들이 많습니다. 번득이는 아이디어가 풍부해서 일을 벌이기는 잘하지만 뒷심이 부족해 마무리가 약하고 싫증을 잘 냅니다. 가끔 피부가 희면서 살찐 사람도 있지만 보통은 마른 편이 많고, 눈이 예리하고 코도 날카로워 보입니다. 숫자도 일 만 명 중에 약 3000명 정도로 많고, 성격도 잘 드러나므로 구분이 쉽습니다. 태음인은 허리 부위가 발달하여 서있는 자세가 굳건해 보이지만 목덜미가 상대적으로 약해 보입니다. 대부분 체격이 장대하고 살이 많아서 듬직해 보입니다. 성격은 침착하고 과묵하여 믿음직하나 가끔씩 급한 면도 드러냅니다. 우직하고 지구력이 있어 일단 맡은 일은 끝까지 해내며 보수적인 면을 띱니다. 음흉한 면과 게으른 면도 있고, 욕심이 많고 현실 안주의 경향도 있습니다. 체형이 뚜렷하고 일 만 명 중에 5000명 정도로 숫자가 많아서 가장 구분이 쉽습니다. 소음인은 하체가 발달하여 상대적으로 엉덩이가 크고 다리가 굵은 경우가 많아서 앉은 자세가 안정되어 보이지만 가슴둘레가 약합니다. 용모가 단정하고 체격이 작은 사람이 많아 얌전해 보이고, 여러 사람들 틈에 섞이면 잘 드러나지 않습니다. 성격이 온순하고 차분하며 싹싹하고 붙임성이 있어 주위에 사람이 끊이질 않습니다. 치밀하고 계획성이 뛰어나지만 소극적이고 여성적인 성격으로 남의 간섭을 싫어하고 이해타산에 밝으며 질투심도 강합니다. 자존심도 강하고 한 번 틀어지면 감정을 오래 가지기 때문에 소심하다는 평을 많이 듣습니다. 자연스럽게 주위와 융화를 잘 하는 사람이고, 전체적으로 마르고 약한 체형이면서 일 만 명 중 2000명 정도가 되기 때문에 구별이 쉽습니다. 사상체질에 따른 분류에 의하면 태양인은 극소수이며, 태음인이 많고, 소양인과 소음인의 수가 엇비슷합니다. 물론 시대에 따라서 그 구성비율도 변합니다. 각 체질마다 자신의 생명을 유지하는 것이 다릅니다. 태양인은 몸안으로 흡수하는 기운을 잘 유지하도록 애쓰야 하며, 태음인은 밖으로 발산하는 기운을 잘 유지해야 하며, 소양인은 열을 내려주는 기운을 잘 유지해야 하며, 소음인은 몸을 다듯하게 해주는 기운을 잘 유지해야 합니다. 이 기준이 건강의 예방과 치료에도 적용되니 잘 기억하셔야 합니다. 다음의 그림은 체질별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생활습관과 식생활 그리고 운동요법에 대한 것입니다. 다음으로는 체질별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사상체질을 구별할 때 몇 가지 유의할 점이 있습니다. 결혼 후나 출산 후에 체중이 변하는 것처럼 살이 찌고 마르는 것은 후천적으로 영양이나 운동, 질병 등으로 영향을 받지만 선천적인 골격은 크게 변하지 않아 골격을 기준으로 체형을 살피는 것이 좋습니다. 성격도 후천적인 교육이나 습관에 의해 본래의 모습이 변할 수 있고, 위급하거나 중요한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되어서야 본연의 성격이 나타나므로 여러 번에 걸쳐 세심하게 관찰하여야 합니다. 한편 병을 살피는 방법으로는 땀의 상태나 대소변의 상태를 주로 봅니다. 다 같이 땀이 나더라도 태음인은 평소에 땀이 많기도 하지만 땀을 흘린 뒤에 몸이 상쾌하고 가벼워지도록 물을 많이 마시기도 합니다. 반면 소음인은 몸이 더 피곤해지고 쳐지면서 물도 그리 많이 마시는 편이 아닙니다. 소양인은 변비가 생겨서 여러 날 대변을 못 보면 가슴 부위가 답답하여 견디지 못하고, 소음인은 여러 날 대변을 보지 못해도 별로 불편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태음인은 하루에 두세 번의 무른 변을 보는 수가 있습니다. 방광염이나 전립선 질환이 없는 건강한 상태에서 하루에 소변을 보는 횟수가 소음인은 3∼4회로 상대적으로 적고, 태음인은 4∼5회로 보통이며, 소양인은 5∼6회로 가장 많습니다. 위가 나빠져서 소화가 되지 않고 체할 때 태양인은 메밀국수를 먹으면 위가 편해지고, 소양인은 보리밥이 좋고, 태음인은 삶은 밤이 도움이 되며, 소음인은 찰밥을 먹으면 편합니다. 이러한 구별 방법이 있지만 인간의 생명 및 건강과 관련이 있는 것이기에, 체질을 구별할 때는 살피고 또 살피며 세심하게 잘 살펴야 합니다. 그러므로 단순하게 소화기가 역하거나 추위를 많이 타면 소양인이고, 뚱뚱하고 땀을 많이 흘리면 태음인이며, 성격이 급하면 소양인, 과격하면 태양인이라는 식으로 단순하게 체질을 구별하는 것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아버지와 어머니의 체질이 달라서 엇비슷한 비율로 두 분의 체질을 섞어서 태어났다면, 구별하기가 더 어렵습니다. 그러다 보니 번거로운 절차는 내던지고 간편하게 오링 테스트나 사상체질 감별 카드 같은 방법들을 동원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런 방법들은 시술자나 피시술자의 선입견이나 편견 등 마음가짐과 숙달 여부에 따라 오차가 많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우리가 오늘 사상의학을 살펴본 이유는 향후 사주의학을 말씀드리기 위함입니다. 사실상 사상의학에서 말하는 체질과 사주의학에서 말하는 체질은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사상의학과 사주의학을 결합하여 개인의 체질을 판단한다면 개인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뿐만 아니라 향후 발생할 질병에 대한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 이제 시간이 허락할 때마다 간략하게나마 사주의학을 소개할까 합니다. 감사합니다.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태음 화 사주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태양 화 사주, 태음인, 소양목 사주, 사상의학 테스트, 화 토 많은 사주, 태양 태음, 소양, 소음, 사상의학 체질, 화기운 직업
체질이야기(음양오행체질) > 한방상식
본문
체질이야기(음양오행체질)
최첨단을 걷는 현대인에게 음양오행(陰陽五行)학설은 자칫 케케묵은 낡은 학문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기가 쉽다.그러나 음양오행은 모든 동양 학문의 기본골격이며 우주와 사물의 생성 원리와 그 현상을 이치적으로 밝힌것이다.한의학은 동양의학이므로 당연히 이 음양오행으로 인체를 관찰하여 진단하고 체질을 분류하여 치료하는것이다.
음 양 체질
– 선천풍수(타고난 체질) 성정위주
혈액형과 같이 태어나면서 가지게되는 성정 – 태양 태음 소양 소음 네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특징
음인:오그리는 성질 신중 소극적 침착 내성적 성향이 비교적 큰 사람을 태음인,비교적 적은 사람을 소음인이라한다
양인:펴는 성질. 활달 적극적 밝음 외향적 성향이 큰 사람을 태양인,비교적 적은 사람을 소양인 이라한다.
장점
음인:다정다감 사려심 이해심 포용력
양인:행동력 결단력 친화력
단점
음인:위기에 봉착하면 침울 우울해지기 쉬운 경향이 있다
양인:독단적이고 실수가 잦고 경망스럽고 주의가 산만한 경향이 있다.
오 행 체질 – 오 행 후천품수(환경에 의해 성장과정에서 형성된 체질) 골격위주 목(木) 화(火) 토(土) 금(金 ) 수(水) 의 식 주 등의 자라나는 환경에 의해 형성되는 체질
목인 (木人) 목은 나무와 같은 기상이며 초목이 잘 자라는 기상 봄과 같은 만물이 피어나는 기상 키가 훤칠하고 서글서글한 사람
화인 (火人)
불같은 활동력 여름에 만물이 무성해 지는 기상 다혈질로 한번 화가 나면 걷잡을수 없는 사람
토인 (土人)
땅은 만물의 어머니란 말도 있듯이 만물을 키우는 포용력이 있어서 지구상의 동식물이 이 당을 근거로 살아간다.넉넉하고 통통한 체형
금인 (金人)
가을과 같이 맑고 깨끗하며 산뜻한 기상 사람도 기상이 고고하고 총명하고 지조가 있고 피부색이 흰 사람 또한 금은 쇠금이므로 작고 단단한 체구임에도 불구하고 여러사람의 몫을 거뜬히 해치우는 사람
수인 (水人)
겨울에는 모든 것을 저장하고 비축하듯이 골격이 단단하고 뚝심이 잇으며 혈색이 좀 검은 사람 또한 물(수)은 투명하고 맑으므로 이재에 능하고 사리분별이 정확한 사람
그래서 체질은 음양의 네가지와 오행의 다섯가지 기운이 어우러져 서로 섞여 있으니 대략
20개의 유형으로 구분 될 수 있겠다.
태양 목 화 토 금 수 인 / 태음 목 화 토 금 수 인
소양 목 화 토 금 수 인 / 소음 목 화 토 금 수 인
예를 들어 타고나기를 태음으로 타고 났는데 성장과정에서 화의 기운을 많이 띄게 된다면
태음화인이 된다
그러나 밤과 낮이 있듯이 누구나 음양의 기운을 가지고 태어나며 일년에 춘하추동이 있듯이 누구나 이 다섯가지 기상 역시 두루 가지게 되므로 나는 어떤 체질이니 이것만 먹고 생활은 이렇게 해야한다 라고 하는 생각은 오히려 편식을 유발하고 편벽된 생활습관을 지니게 되어 오히려 모르니만 못하게 되는 것이다.이러한 체질분류법은 전문가인 한의사가 세밀하게 진단하여 치료에 응용할 뿐이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태음 화 사주
다음은 Bing에서 태음 화 사주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사주에 나무나 불이 있으면 이걸로 대박날 수 있습니다 ㅣ사주로 보는 내 성공 시나리오
- 사주팔자보는법
- 사주팔자 보는 법
- 사주 보는 법
- 사주
- 사주팔자
- 사주에 목이 많으면
- 사주에 불이 많으면
- 사주에 토가 많으면
- 사주에 땅이 많으면
- 사주에 금이 많으면
- 사주에 물이 많으면
- 사주에 수가 많으면
사주에 #나무나 #불이 #있으면 #이걸로 #대박날 #수 #있습니다 #ㅣ사주로 #보는 #내 #성공 #시나리오
YouTube에서 태음 화 사주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주에 나무나 불이 있으면 이걸로 대박날 수 있습니다 ㅣ사주로 보는 내 성공 시나리오 | 태음 화 사주,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